설날에 버스 타고 고향가기 힘드네…고속·시외버스, 코로나 유행 속 20~30%↓

설날에 버스 타고 고향가기 힘드네…고속·시외버스, 코로나 유행 속 20~30%↓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23-01-21 16:42
업데이트 2023-01-21 16: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폐업 안내  현수막 걸린 성남종합버스터미널
폐업 안내 현수막 걸린 성남종합버스터미널 지난달 28일 경기 성남 분당구 야탑동 성남종합버스터미널에 폐업 안내문이 붙어 있다.
2004년 문을 연 성남종합버스터미널은 코로나19 사태로 증가한 자가용 운전자, 경강선, 수서발 고속열차 개통 등의 영향으로 2019년 하루 평균 6700명이던 승객 수가 현재는 3500명으로 줄었다.
연합뉴스
“기차보다 버스가 저렴하고 역과 집도 가까운 편인데, 올해 설날 명절 버스표를 예매하려고 보니 코로나 이전보다 예약이 어려워진 것 같습니다.” (직장인 김모씨)

거리두기 없는 첫 설날을 맞아 고향을 찾는 이들이 늘었지만, 가족을 만나러 가는 길이 코로나19가 유행하기 전과 같지는 않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시외·고속버스는 코로나19 유행을 계기로 이용객들이 줄어들면서 차량수가 약 20% 줄었고, 폐쇄된 터미널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설 연휴 기간이면 귀성객을 위해 기차나 버스를 증차하는 특별안전대책이 운영된다.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연합회에 따르면 올해 설 연휴 시외버스를 타려는 인원은 하루 35만 855명으로 전년보다 26.2%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그에 맞춰 예비차량 등을 가동할 수 있도록 정비 점검을 강화하고 공동운수협정을 통한 전세버스도 빠르게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한 운영난 등으로 시외·고속버스가 줄어든 탓에 증차를 하는 데도 한계가 있다. 2019년 11월 기준 2031대이던 전국 고속버스는 지난해 11월 1619대로 20.3% 줄었다. 운전자 수도 같은 기간 3047명에서 2257명으로 25.9% 감소했다. 시외버스는 차량 보유대수는 6817대에서 5376대로 21.1% 감소했고, 운전자는 9796명에서 5912명으로 39.6%나 줄어들었다.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노선수나 배차수도 감소하는 추세다. 국토교통부의 대중교통현황조사에 따르면 2021년 시외버스 노선수는 3042개로 2019년(3517개)보다 475개(13.5%) 줄었다.

KTX나 SRT 등 철도도 늘어나면서 버스 터미널도 사라지고 있다. 전국여객자동차터미널사업자협회 등에 따르면 2020년 이후 경기 성남종합버스터미널, 전북 남원고속버스터미널, 전북 익산고속버스터미널 등 18곳이 폐업했다. 임시 운영되는 경우도 있지만 그만큼 버스로 가기 어려운 지역이 늘어난 셈이다.
김주연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