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에 더 길어진 대기시간…서울대병원 74일 기다려 5분 진료

코로나에 더 길어진 대기시간…서울대병원 74일 기다려 5분 진료

곽소영 기자
곽소영 기자
입력 2022-10-05 11:38
업데이트 2022-10-05 11: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립대병원 9곳 평균 진료 8분
“짧은 진료 탓에 환자 불만”

서울대병원 전경. 연합뉴스
서울대병원 전경. 연합뉴스
코로나19 영향으로 국립대병원 대기 시간은 더 길어졌지만 1인당 평균 외래 진료 시간은 짧게는 5분, 길게는 12분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더불어민주당 김영호 의원이 전국 국립대병원 9곳(경북대병원 제외)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환자 1인당 평균 진료 시간은 최근 5년간 8분 안팎에 머물렀다.

2018년부터 지난 8월까지 서울대병원의 외래환자 1인당 평균 진료 시간은 5분이었다.

같은 기간 강원대병원은 12분으로 가장 길었고 이어 전남대병원 11.3분, 전북대병원 10분, 제주대병원 8.4분, 충북대병원 7.2분, 경상대·충남대병원 7분 순이었다. 부산대병원은 5.5분으로 서울대병원과 마찬가지로 5분대에 그쳤다.

대형 병원을 찾는 환자들은 의료진으로부터 치료나 진료 절차, 부작용 등을 상세히 설명받기 원하지만 짧은 진료 탓에 의료 서비스를 제대로 제공받지 못하는 실정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2020년 의료서비스경험조사에서 ‘진료시간이 충분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우리나라가 75.0%로 OECD 평균(81.7%)을 밑돌았다.

반면 코로나19 등 영향으로 진료를 받으려고 기다려야 하는 시간은 길어지는 추세다. 국립대병원 9곳의 평균 진료 대기기간은 2018년 19.5일에서 지난해 22일, 올해 23.1일로 꾸준히 늘었다. 특히 서울대병원은 2018년 66일에서 지난해 71일로 늘었다. 올해 들어 지난 8월까지는 74일이었다.

김 의원은 “의사 인력 부족 등 복합적인 사유가 뒤따르지만 긴 대기, 짧은 진료는 환자 모두가 불만을 가지는 사안인 만큼 반드시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곽소영 기자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