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부작용 적은 에이즈 치료 화학물질 개발

서울대, 부작용 적은 에이즈 치료 화학물질 개발

입력 2014-09-30 00:00
업데이트 2014-09-30 12: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구팀 “독성 적고, 내성 생긴 바이러스 치료에 효과”

서울대 연구팀이 기존 인간 면역결핍증(에이즈) 치료제의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화학물질을 개발했다.

서울대 화학교육과 유재훈 교수와 화학부 이연 교수 연구팀은 에이즈 바이러스(HIV 바이러스)가 만들어내는 특이한 리보핵산(RNA)에 결합할 수 있는 펩티드(두 개 이상의 아미노산이 특정한 방식으로 결합한 형태의 화학물)를 인공적으로 만들었다고 30일 밝혔다.

이렇게 만들어진 펩티드는 HIV 바이러스가 감염된 세포 안으로 스스로 투과해 들어가 바이러스의 RNA와 결합, 바이러스를 박멸하게 된다.

이 화학물질은 기존 치료제가 가진 부작용인 만성 간독성(약물이 대사되는 과정에서 간 기능이 손상되는 것)을 완화하고 기존 약에 이미 내성을 가진 바이러스를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기존과 완전히 새로운 방식의 치료방식으로 이 화학물질을 이용해 신약을 만들면 이미 개발된 치료제에 저항성이 생긴 바이러스에 사용할 수 있고 독성이 현저히 적어 부작용도 적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 결과는 화학 분야 세계적 학술지인 ‘앙게반테 케미’(Angewandte Chemie) 7월 24일자 온라인판에 주목받는 논문인 ‘핫 페이퍼’로 실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