짝퉁 선글라스 범람, 눈 안전 ‘위협’

짝퉁 선글라스 범람, 눈 안전 ‘위협’

입력 2014-09-26 00:00
업데이트 2014-09-26 14: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시광선 투과율 등 기능성이 떨어지는 ‘짝퉁’ 선글라스가 무분별하게 유통되면서 눈 건강에 비상이 걸렸다. 선글라스가 계절에 상관없이 착용하는 생활필수품으로 자리잡았지만 정품과 구별하기 어렵고, 구입이 쉬운데다 유명 브랜드 선호 현상까지 더해지면서 안전관리에 속수무책이다.

 특허청 상표권특별사법경찰(특사경)은 26일 서울 남대문과 인터넷, 천안·충주 등지에서 가짜 유명상표를 부착한 선글라스 판매업자를 잇따라 적발해 상표법 위반 혐의를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중국에서 제조된 선글라스를 들여와 레이벤·샤넬 등 유명 상표를 부착한 뒤 정품인 것처럼 속여 온라인 쇼핑몰과 일반 매장 등에서 판매해 것으로 드러났다.

 판매업자 A씨는 남대문에서 지난 2008년부터 위조 선글라스를 판매해오다 적발됐다. 현장에서는 레이벤 등 유명상표를 부착한 가짜 선글라스 770여점(정품 기준 2억 2000만원)을 압수했다. 또 온라인 쇼핑몰 운영자에게 400여점(정품 기준 1억 2000만원)도 판매한 사실이 추가 확인됐다.

 특허청이 압수한 선글라스를 전문분석기관인 한국안경산업지원센터에 의뢰한 결과 일부 제품에서 가시광선 투과율이 30% 이하로 시야 확보가 안되고, 어지러움증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렌즈가 안경테에서 이탈돼 안구를 다치게 할 수 있는 위해 제품도 있었다.

 이병용 특허청 산업재산조사과장은 “국민 안전을 위협하는 위조상품 유통 근절을 위해 단속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