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학벌이 높을수록 행복 수준 높아”

“학력·학벌이 높을수록 행복 수준 높아”

입력 2014-02-27 00:00
업데이트 2014-02-27 14: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한 행복도 조사에서 학력· 학벌이 높을수록 행복한 이들이 많다는 결과가 나왔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한국교육고용패널의 27세 내외 2천514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행복한 청년의 특징’이란 보고서를 27일 발표했다.

현재의 행복 수준을 0점(전혀 행복하지 않다)∼10점(매우 행복하다)으로 매기게 해 0∼3점은 행복 수준이 낮은 집단, 4∼6점은 보통, 7∼10점은 높은 집단으로 분류했다.

조사 결과 고등학교 이하 졸업자 중 행복한 청년의 비율은 58.7%, 전문대 졸업자는 63.6%, 4년제 대학 졸업자는 65.9%로 학력이 높을수록 행복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또 같은 4년제 대학이라도 상위 30위권 대학 졸업자 가운데 행복한 청년의 비율이 71.9%로 전체 4년제보다 높아 학벌에서도 차이가 났다.

취업자의 64.4%는 행복한 청년이나 실업자는 그 비율이 47.8%에 그쳤다.

취업자 중에서는 자영업자(65.7%), 임금근로자(64.6%), 무급가족종사자(55.0%) 순으로 행복 수준이 높았다.

임금근로자 가운데 상용직(66.3%)의 행복 수준이 가장 높았고, 일용직(33.3%)은 상용직의 절반 수준이었다.

배우자 소득을 포함해 본인의 월평균 소득이 200만원 미만인 경우 행복한 청년의 비율이 61.0% 안팎이나 200만∼300만원이면 70.2%로 가파르게 증가했고, 300만원 이상이 되면 68.9%로 소폭 낮아졌다.

장래 희망 직업을 결정한 집단에서 행복한 청년의 비율이 69.0%, 결정하지 못한 집단(59.9%)보다 높았다.

성격별로 외향적(71.6%)이고 정서적으로 안정(75.2%)되고, 친화적(72.7%)이고, 개방적(68.4%)인 성격인 사람이 더 행복했다.

남자는 마르거나(53.8%) 비만(57.5%)인 사람보다 과체중(68.5%)인 경우 행복한 사람이 더 많았지만, 여자는 보통(62.0%)이나 저체중(61.2%)인 사람이 행복 수준이 높았다.

보고서는 “학력과 학벌이 높을수록 행복 수준이 높아지는 것은 우리나라의 높은 학력 프리미엄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며 “학력·학벌 중심에서 능력·역량 중심의 사회로 전환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