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방에 앉아서 토론… 떨리지 않았어요”

“내 방에 앉아서 토론… 떨리지 않았어요”

입력 2012-06-26 00:00
업데이트 2012-06-26 00: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회 전국 고등학생 온라인 1대1 토론대회’ 우승 김태현군

“오프라인 토론대회에서는 상대방을 직접 마주 보고 이야기를 해야 해 긴장이 많이 됐는데, 온라인 대회는 집에서 편하게 토론에 참가할 수 있어 떨리지 않았어요. 또 주제를 토론 직전에 알려주는 대회 방식에 적응하면서 토론 시 순간 대처능력도 크게 좋아졌습니다.”

세계 최초로 양방향 화상토론시스템을 통해 치러진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제 1회 전국 고등학생 온라인 1대1 토론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한 경희고 2학년 김태현군은 25일 이같이 우승 소감을 밝혔다.

이 시스템은 토론 참가신청자들이 토론능력 인증사이트 ‘온소통’(www.onsotong.com)에 접속해 온라인 토론을 벌이면 전문 심사자들이 녹화된 토론 영상을 보고 표준화된 척도로 점수를 매겨 승패를 정한다. 토론과 평가 모두 온라인으로만 이뤄지는 것으로 특허도 출원돼 있다.

이달 초 치러진 예선에서 ‘교육은 경쟁보다 협동이다’와 ‘탄소 배출권 거래제는 시기상조다’라는 논제로 찬반을 번갈아가며 진행된 토론을 통해 32명의 본선 진출자가 추려졌다. 본선에서는 토론 30분 전에 제시한 논제로 상대방과 30분간 3차례씩 토론을 벌여 점수 순으로 최종 결승 진출자 2명을 가렸다. 결승에는 김군과 전주고 3학년 김동현군이 올랐으며, ‘오르지 못할 나무는 쳐다보지 마라.’라는 논제로 30분간 열띤 논쟁을 벌였다. 반대 측의 입장에서 토론에 나선 김군은 “결승에 올라온 것까지만 해도 너무 만족스러워 마음을 비우고 토론에 임했는데 우승까지 하게 돼 너무 기쁘다.”라고 말했다.

2위인 금상을 차지한 김동현군도 “바쁜 수험생활 탓에 오프라인 토론 대회였다면 출전하지 못했을 것”이라면서 “다양한 배경을 가진 학생들이 한데 모일 수 있었던 것도 온라인이기에 가능했다.”고 평가했다.

이 시스템을 개발한 허경호 경희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이번 토론대회는 시간과 장소의 제약에서 벗어나 인터넷 화상을 통한 온라인 1대1 토론대회로 세계적으로 처음 시도되는 것”이라면서 “장기적이고 누적적으로 토론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관리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2012-06-26 2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