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한 건 스스로를 믿는 것… 고정관념 깨세요”

“중요한 건 스스로를 믿는 것… 고정관념 깨세요”

입력 2011-11-04 00:00
업데이트 2011-11-04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헬리코박터균 발견 배리 마셜 서호주대 교수

“내가 배운 의학 교과서는 강한 위산이 있는 위에는 세균이 증식할 수 없다고 단언하고 있었다. 하지만 난 분명히 위 안에 세균이 자라는 것을 목격했고, 모두가 믿고 있는 절대적인 사실과 싸우기 시작했다. 과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스스로를 믿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배리 마셜 서호주대 교수
배리 마셜 서호주대 교수




●“한국인 3만년전부터 다르게 진화”

한국·호주 수교 50주년을 기념해 방한한 2005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배리 마셜 서호주대 교수는 3일 서울 중구 소공동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서울신문과 가진 인터뷰에서 ‘고정관념을 깨라’고 강조했다. 마셜 교수는 스승인 로빈 워런 박사와 함께 위궤양과 위암의 원인균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을 발견한 공로로 노벨상을 받았다.

그는 “1982년 헬리코박터균을 발견했지만 아무도 믿지 않았고, 적합한 동물모델도 없어 1984년 직접 균을 마시고 위궤양이 생기는 것을 관찰하기도 했다.”면서 “하지만 이제 헬리코박터균의 발견은 인류 건강에 지대한 발전을 가져왔고, 고정관념을 믿는 것이 얼마나 어리석은가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사례가 됐다.”고 말했다.

마셜 교수는 여전히 헬리코박터균과의 전쟁을 계속하고 있다.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인과 아프리카 흑인, 유럽인들의 헬리코박터균이 다르다는 점에 착안, 진화가 세균의 유전자를 어떻게 바꿨는지를 연구하고 있다. 전 국민의 80~90%가 헬리코박터균을 보유하고 있는 한국인의 경우, 다른 민족과 약 3만년 전부터 진화의 방향이 달라진 것으로 추정된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몇 년 안에 위암 백신 등장할 것”

헬리코박터균을 이용한 위암 백신과 항생제 연구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마셜 교수는 “앞으로 몇 년 후면 위암 백신이 등장할 수 있을 것”이라며 “특히 기존의 주사제가 아니라 먹는 형태의 약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 10년간 작은 동물들을 이용해 헬리코박터균을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졌기 때문에 의학의 발전 속도는 획기적으로 빨라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마셜 박사는 최근 유해하기만 한 것으로 알려졌던 헬리코박터균이 어린이들의 알레르기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를 소개하기도 했다. “노벨상 수상자 대부분이 은퇴하고 연구를 끝낸 경우가 많다는 점이 아쉽다.”고도 했다.

앞서 마셜 교수는 2일 대전을 방문, 한국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수여했다. 마셜 교수의 노벨상 수상을 기념해 만들어진 ‘배리 마셜 장학금’은 해마다 대전과학고 학생 2명에게 수여된다. 2007년부터 올해까지 10명의 학생들이 서호주대 학부과정 등록금 전액(2억원)을 지원받고 있다. 마셜 교수는 “한국 학생들은 아주 창의적”이라면서 “가끔은 너무 지나치게 공부하는 것 같은 느낌도 받고 있다.”며 웃었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1-11-04 27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