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수부, 부산저축銀 ‘해외 비자금’ 수사

중수부, 부산저축銀 ‘해외 비자금’ 수사

입력 2011-05-04 00:00
업데이트 2011-05-04 12: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개 위장 SPC 동원, 5천억 불법대출금감원 유착관계·로비 초점

저축은행 불법대출 및 특혜인출 의혹을 수사중인 대검찰청 중앙수사부(김홍일 검사장)는 부산저축은행그룹이 해외 부동산 시행사업에 5천억원대 불법대출을 하면서 거액의 비자금을 조성한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사실관계를 확인하는 것으로 4일 알려졌다.

또 해외대출이 부산저축은행그룹이 자체 설립한 10개의 위장 특수목적회사(SPC)를 통해 대부분 캄보디아의 부동산 개발사업에 집중됐음에도 금융당국이 이를 적발하지 못한 것과 관련, 금융감독기관 담당자와의 유착관계나 로비 등 비리가 있었는지도 조사하고 있다.

검찰이 파악한 부산저축은행그룹의 해외사업 투자액은 총 5천230억원으로 이 중 95%인 4천965억원이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형태로 캄보디아의 신도시·공항·고속도로 개발사업에 투자됐으나 현재 대부분의 사업이 중단된 상태다.

검찰은 부산저축은행그룹이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 외곽에 추진되는 총 20억달러 규모의 신도시 조성사업인 ‘캄코시티’ 건설을 주도하면서, 법정 투자한도를 피하기 위해 1999년부터 설립한 자본금 1천만원 규모의 위장 SPC를 통해 수백억원씩 투자해온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부산저축은행그룹은 2007년 캄보디아 현지에 ‘캄코은행’까지 설립해 운영해왔으며 지분 19%를 보유하고 있다.

위장 SPC 중 하나인 C사는 2004년 9월 설립돼 작년 말까지 1천186억원의 PF 대출이 이뤄졌으나 자금난 등으로 사업이 중단됐으며, F사는 저축은행 부실사태에 대한 경고음이 커지던 작년 4월 캄보디아 공항건설 사업을 위해 설립돼 425억원을 대출받았으나 부지도 매입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검찰은 통상 저축은행의 PF 대출이 짧은 기간의 ‘브릿지론’ 형태로 이뤄지는 반면 부산저축은행의 해외사업 PF 대출은 기간이 비상식적으로 길어 불법대출 정황을 쉽게 포착할 수 있었음에도 금융감독원 등이 이를 적발하지 못한 점에 주목하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해외 대출을 포함해 각 사업별 불법대출의 구체적인 경위와 사업승인이나 감독 과정의 불법 행위를 조사하고 있다”며 “관련자나 혐의가 확인되면 추가 기소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지난 1일 불법대출, 배임, 횡령 등 7조원대 경제 비리를 저지른 혐의로 부산저축은행그룹 박연호(61) 회장을 비롯한 대주주와 주요 임원 10명을 구속 기소하고 11명을 불구속 기소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