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택 측근 잇단 망명설… 정부 “사실무근” 쐐기

장성택 측근 잇단 망명설… 정부 “사실무근” 쐐기

입력 2013-12-20 00:00
업데이트 2013-12-20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안보조정회의 종합적 판단

‘장성택 숙청’ 이후 북한 고위인사들의 망명설이 잇따르자 정부가 “사실무근”이라고 쐐기를 박았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은 19일 “국내 언론이 보도한 북한 간부 중국 망명설은 사실이 아님을 다시 한번 분명히 재확인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외교안보정책조정회의의 종합적 판단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정부는 오후 김장수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청와대에서 외교안보정책조정회의를 열어 망명설과 관련된 논의를 한 뒤 이 같은 입장을 발표케 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이런 태도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안다”는 취지의 기존 대응보다 부인 강도를 높인 것이다.

최근 확산된 망명설의 주요 내용은 장성택 전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의 측근인 노동당 소속 고위 군부 인사가 숙청 기류를 감지하고 지난 9월 말 중국 베이징으로 도피해 우리 정부에 망명을 요청했으며 이 인사의 국내 송환을 위해 군과 정보당국이 주중 한국대사관 등지에서 합동 심문을 벌이고 있다는 것이다. 망명 요청 인사가 김정일, 김정은 부자의 비자금 내역이 담긴 문서와 북한의 핵개발 관련 핵심 문서를 들고 나왔다는 설도 있다. 급기야 장성택 측근 등 70여명이 중국으로 탈출했으며 이 가운데는 북한의 핵무기 관련 자료와 남파 간첩 명단을 소지한 거물급 인사가 있다는 얘기도 돌았다.

이처럼 망명설이 확대재생산되고 있는 것은 정부 책임이라는 비판도 제기된다. 딱 잘라 부인하는 대신 ‘아는 바 없다’는 모호한 답변을 해 왔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우리 정보기관 간 알력설도 대두된다. 경쟁심 때문에 확인되지 않은 소문 수준의 첩보를 무차별적으로 흘리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망명설이 나돌았던 로두철 내각 부총리는 지난 17일 김정일 국방위원장 2주기 중앙추모대회에 모습을 드러내기도 했다.

한편 지난달 처형된 리용하 당 행정부 제1부부장과 장수길 부부장 외에 과장급 인사 5명 이상이 처형된 것으로 알려지는 등 추가적인 숙청 움직임도 포착됐다. 정보 당국자도 이날 “개연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3-12-20 6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