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티오피아 주재 北외교관 지난 8월 국내 망명

에티오피아 주재 北외교관 지난 8월 국내 망명

입력 2013-10-26 00:00
업데이트 2013-10-26 00: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외화벌이 부담 가중’ 분석

에티오피아에서 근무하던 북한 현직 외교관이 한국으로 망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망명 시점은 남북 간 개성공단 정상화와 금강산 관광 실무회담 논의가 한창이었던 지난 8월로, 정부는 남북관계에 미칠 영향을 감안해 극비리에 망명을 추진한 것으로 전해졌다.

25일 복수의 정보 소식통에 따르면 망명한 북한 외교관은 무역대표부 소속으로 고위급 인사는 아니다. 무역대표부는 주로 외화벌이 업무를 담당한다. 에티오피아 북한대사관에서는 2009년 10월에도 직원 김모씨가 망명한 적이 있다.

망명 배경에 대해선 알려지지 않았지만 외화벌이 부담이 가중됐기 때문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최근 북한이 해외 파견 외교관 자녀들에 대한 귀국 명령을 내린 것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거론된다.

북한 외교관의 망명 사례는 과거에도 빈번했다.

2000년 10월 주태국 북한대사관의 과학참사관이던 홍순경씨가 일가족과 함께 한국으로 망명했고, 2006년 3월에도 유럽 주재 북한대사관 직원과 일가족 등 4명이 주헝가리 한국대사관을 찾아 망명을 신청한 적이 있다.

2009년 4월에는 중국 상하이 북한 무역대표부 김기철 대표가 망명했다. 최근에는 주재원 자녀의 망명 신청이 늘고 있는 추세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3-10-26 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