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TV로 전환땐 北주민 남한방송 못봐”

“디지털TV로 전환땐 北주민 남한방송 못봐”

입력 2011-11-23 00:00
업데이트 2011-11-23 16: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하태경 열린북한방송 대표는 23일 “아날로그 방식인 남한의 TV방송이 내년에 디지털로 전환되면 북한 주민은 외부정보를 접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 하나를 잃게 된다”며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하 대표는 이날 열린북한방송, 자유조선방송, 자유북한방송 등의 공동주최로 서울 전국은행연합회관 에서 열린 ‘북한 언론자유를 위한 미디어 국제회의’에서 “북한 주민의 인권을 생각한다면 이들이 더 많은 정보를 접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는데 그런 노력이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아날로그 전파는 멀게는 함경남도 지역까지 닿기 때문에 북한 주민이 남한TV를 시청할 수 있었지만, 디지털 신호로 전환되면 시청이 불가능해진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독일 슈피겔지 프리랜서 기자인 말테 콜렌버그씨는 “과거 동독은 서독의 TV 전파가 쉽게 잡힌다는 사실을 가볍게 생각했다”며 “이에 따라 동독 주민이 버튼 하나로 자신의 생활과 서독의 상황을 비교하고 자신의 상황을 깨달아 변화를 요구하는 계기가 됐다”고 TV시청의 의미를 강조했다.

콜렌버그씨는 또 “서독 주민의 동독 관광이 허용되고 나서 관광 수입이 동독의 생존에 필수요소가 됐다”며 사회문화 교류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주최 측은 중국 단둥과 북한 신의주를 오가며 장사하는 화교 남성과의 통화녹취를 공개했는데 이 남성은 “최근 강성대국을 위한 외화벌이를 위해 식당 접대원부터 화가까지 다양한 북한사람이 중국에 나와 있다”며 “월급이 많이 올라 800위안(14만5천원가량)인데 이 중 100∼200원을 제외하고는 당국이 거둬가 강성대국 건설에 보탠다고 한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