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터 美국방 “KFX 4개 핵심기술 이전 어렵다”

카터 美국방 “KFX 4개 핵심기술 이전 어렵다”

강윤혁 기자
강윤혁 기자
입력 2015-10-17 01:46
업데이트 2015-10-17 05: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미 국방장관회담서 재확인

애슈턴 카터 미국 국방장관은 15일(현지시간) 미국 국방부(펜타곤)에서 한민구 국방부 장관과 만나 한국형 전투기(KFX) 4개 핵심기술 이전 문제에 대해 “4개 장비의 체계통합기술 이전은 어렵다”는 기존 미 정부의 입장을 고수했다.

카터 장관은 회담 이전인 15일 오전 10시 30분(한국시간) 주한 미국대사관을 통해 서울 국방부로 보낸 서한을 통해 기술 이전 불가 의견을 표명했다고 우리 국방부가 16일 밝혔다. 한 장관은 지난 8월 KFX 사업에 대한 기술 이전 협조를 요청하는 서한을 카터 장관에게 보낸 바 있다. 국방부는 이런 답신 내용을 미국에 있는 한 장관에게 전달했고 한 장관은 그에 대한 협상전략을 갖고 16일 오전 3시 30분 카터 장관을 만났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카터 장관은 회담에서 한 장관이 KFX 사업을 위한 기술 이전을 전향적으로 검토해 달라고 재차 요청했지만 기존의 미 정부 입장을 되풀이했다. 미 정부가 모두 세 차례에 걸쳐 핵심기술 이전 불가 입장을 통보한 셈이다. 한 장관은 이번 회의에서 미국 정부가 지난 4월 기술 이전을 공식 거부한 다기능 위상배열(AESA) 레이더와 적외선탐색 추적장비(IRST), 전자광학 표적추적장비(EO TGP), 전자파 방해장비(RF 재머) 등 4개 장비의 체계통합기술 이전을 요청했다. 이에 카터 장관은 “기술협력 방안을 공동으로 모색해 보겠다”는 원론적인 답변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2015-10-17 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