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서 사망한 국군 포로 첫 유해 영접식

北서 사망한 국군 포로 첫 유해 영접식

입력 2013-10-07 00:00
업데이트 2013-10-07 04: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北서 사망한 국군 포로 첫 유해 영접식
北서 사망한 국군 포로 첫 유해 영접식 6·25전쟁 때 국군 포로로 끌려가 1984년 북한에서 숨진 손동식씨로 추정되는 유골이 지난 5일 국내에 송환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영현봉안관으로 유골함이 옮겨지고 있다.
연합뉴스
6·25전쟁 때 국군 포로로 끌려가 1984년 북한에서 숨진 손동식씨로 추정되는 유골이 지난 5일 국내에 송환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영현봉안관으로 유골함이 옮겨지고 있다. 손씨의 딸 명화(뒷줄 왼쪽)씨는 2005년 탈북한 뒤 민간 단체의 도움으로 중국을 거쳐 유골을 송환하는 데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손씨는 포로로 잡힐 당시 이등중사로, 육군 9사단 소속 전투병이었다. 손씨는 임종 당시 명화씨에게 “내가 죽으면 고향에 묻어 달라”는 유언을 남긴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에서 사망한 국군 포로의 유해 영접식이 현충원에서 열린 것은 처음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