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安, 최종 ‘전화 담판’ 결렬…끝내 ‘마이 웨이’

文-安, 최종 ‘전화 담판’ 결렬…끝내 ‘마이 웨이’

입력 2015-12-13 12:08
업데이트 2015-12-13 12: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文 “만나서 대화하자” vs. 安 “혁신전대 수용 선언 먼저하라” 평행선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전 공동대표는 13일 오전 11시 탈당 기자회견 직전 문재인 대표와 전화통화를 하고 최종 담판을 벌였으나 타협점을 찾는데 끝내 실패했다.

안 전 대표는 이날 오전 9시40분 상계동 자택을 나서 국회로 향했다. 기자들의 쏟아지는 질문에 굳은 표정으로 “국회에 가서 얘기하겠다”고만 했다.

안 전 대표는 국회로 이동하는 차량 안에서 문 대표와 10분 가량 전화통화를 하고 혁신 전당대회 수용 의사를 최종 타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구기동 자택에 머물던 문 대표는 통화에서 “만나서 대화하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겠다”며 혁신전대를 포함한 모든 방안에 대해 논의할 준비가 돼 있음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안 전 대표는 “혁신전대 수용을 선언한다면 세부적인 것은 만나서 이야기할 수 있다”는 뜻을 전했지만 문 대표로부터 끝내 “혁신전대를 수용하겠다”는 답변을 얻지 못했다는 후문이다.

혁신전대 개최 문제를 놓고 끝없는 제안, 역제안을 하며 핑퐁게임을 벌여온 문 대표와 안 전 대표가 결별을 최종적으로 확인하는 순간이었다.

이날 통화는 막판 중재활동에 나선 박병석 전 국회부의장이 문 대표의 구기동 자택을 찾아 “만나서 모든 것을 백지상태에서 논의해볼 수 있다”는 입장을 들은 뒤 안 전 대표에게 전달해 성사된 것이다.

박 전 부의장은 문 대표에게 일단 혁신전대 수용 의사를 밝히고 전당대회 합의 추대 등을 통한 문·안(문재인·안철수) 공동지도체제를 구성하는 최종 중재안을 제시했지만 문 대표로부터 혁신전대 수용에 관한 분명한 답을 얻진 못했다.

안 전 대표는 전화담판 결렬 후 자신의 비서실장을 지낸 문병호 의원과의 통화에서 11시 회견을 강행하겠다는 입장을 밝혔고, 오전 10시30분께 국회에 도착했다.

안 전 대표는 문 의원과의 통화에서 “고난의 길에 동행해줘 고맙다”는 뜻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 전 대표는 의원회관 사무실을 들러지 않고 국회 주차장에서 잠시 머문 뒤 회견시간에 맞춰 국회 정론관으로 향했다.

앞서 문 대표는 이날 오전 0시58분께 노원구 상계동 안 전 대표의 자택을 찾았으나 안 전 대표가 사실상 회동을 거부함에 따라 40여분 간 문앞에서 기다리다 그냥 돌아서야 했다.

안 전 대표는 탈당을 만류하기 위해 미리 자택에 와있던 의원들의 설득에 따라 자택 문 앞에서 기다리던 문 대표를 잠시 만나 악수와 함께 짧은 인사를 나눴다.

문 대표가 “만나서 대화로 풀자”는 취지로 이야기했지만 안 전 대표는 회동을 거부한 채 “아침에 맑은 정신에 만나자”고 한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문 대표는 굳은 표정으로 오전 1시45분께 발길을 돌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