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협정 60년] 60년 간극에…말도 몸도 달라진 남북

[정전협정 60년] 60년 간극에…말도 몸도 달라진 남북

입력 2013-06-24 00:00
업데이트 2013-06-24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컴퓨터가 바이러스에 걸린 것 같은데요? 혹시 백업은 해 두셨나요?”

“백업이 뭡니까?”

“원본 자료를 따로 저장해 두셨냐고요.”

“혹시 여벌(백업의 북한말)을 말하는 겁니까?”

미래 통일 한국, 고장 난 컴퓨터를 들고 서비스센터를 찾아온 이 북한 출신 주민은 무사히 컴퓨터를 고치고 돌아갈 수 있을까.

60년간 다른 체제에서 살아온 남북은 생소한 단어 때문에 의사소통에 불편을 겪을 정도로 ‘서먹한’ 민족이 됐다. 한국 사회에는 외래어가 많이 유입됐고, 북한은 ‘말 다듬기 운동’을 통해 인위적으로 말을 바꿔 서로 뜻을 이해하기 어려운 단어가 생겨났다. 탈북자들이 언어적 측면에서 가장 어려워하는 것이 바로 외래어다.

외래어가 아니더라도 ‘싹싹하다’를 북한에서는 ‘연삽하다’로, ‘창피하다’는 ‘열스럽다’고 하는 등 알아들을 수 없는 말들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국립국어원이 탈북자 100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탈북자들이 우리 측 언어에 적응하는 데는 보통 3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영국 등 영어권 국가로 어학연수를 떠나 영어를 익히는 데 걸리는 시간과 별 차이가 없다. 이처럼 분단 60년은 남북한 사이에 심각한 사회·경제적 간극을 만들었다.

식량난이 계속되면서 북한 어린이들이 나이에 비해 키가 작은 발육부진 상황인 것도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영양결핍이 길어지면 키와 체격 면에서 남북한 사람들이 전혀 다른 종족이 될 것이란 우려도 제기된다. 새누리당 심윤조 의원은 지난해 통일부 국정감사에서 탈북 어린이 신체조사 자료를 인용해 “6~10세 탈북 남자 어린이의 평균 신장은 110.6㎝로 한국 어린이 평균신장 124.6㎝보다 14㎝ 더 작다”고 밝혔다. 북한 당국이 지난해 12월 말 유엔에 보고한 영양조사 예비보고서에서도 5살 이하 북한 어린이의 28%가 발육장애를 겪고 있으며, 15%는 체중미달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격차 또한 상당하다. 북한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1984년 7월 발표한 ‘교육사업을 더욱 발전시킬 데 대하여’에 따라 북한 전역에 우수한 학생을 선발·교육하는 제1중학교를 세우고 영재교육을 하고 있다. 12년 무상의무교육 제도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평양 등 도시 지역을 제외한 지방 교육은 황폐화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교육의 간극이 통일 이후 남북한 주민의 서열화를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기념하는 명절도 다르다. 북한은 1970년대만 해도 사회주의 생활양식에 어긋난다고 민속명절을 배격했다. 1972년 남북대화가 시작된 이후 북한은 ‘단일민족’이란 점을 강조하기 위해 성묘를 허용하고 추석을 휴일로 지정하는 한편 음력설을 쇠고 있지만, 여전히 ‘사회주의 명절’에 더 큰 비중을 둔다.

가장 큰 문제는 체제의 간극이다. 남북은 ‘뿌리’부터 이질적인 자본주의사회와 사회주의 체제로 각각 60년 넘게 지탱해 왔다. 한국에 정착했던 많은 탈북자들이 자본주의사회에 적응하지 못해 제3국으로 발길을 돌리고 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3-06-24 3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