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선의원 설문조사] 야권연대 “깰수는 없다” “멍에 될수도” 불면의 밤

[초선의원 설문조사] 야권연대 “깰수는 없다” “멍에 될수도” 불면의 밤

입력 2012-06-07 00:00
업데이트 2012-06-07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야권을 뒤덮은 종북 논란 속에 민주통합당 내부에서도 통합진보당과의 야권 연대를 놓고 근본적 질문을 하는 시각이 표출되고 있다.

통진당과의 야권 연대를 계속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은 민주당 초선 응답자(40명)의 30.0%(12명)를 차지했다. 반면 절반이 넘는 52.5%(21명)는 ‘유지’ 대신 ‘기타’ 의견을 내, 이들의 고민이 간단치 않음을 드러냈다.

당론으로 대변되는 정치공학에서 자유로운 초선 의원들일수록 이런 성향은 뚜렷했다. 특히 이들은 ‘대선 승리’라는 명제보다 ‘개개인이 헌법기관’이라는 보다 근원적인 명제에서 원칙적 고민을 하고 있었다. 국회의원으로서 자유 민주주의 체제, 국민 생명권 보호 등 헌법적 가치를 외면할 수 없다는 근본적 질문이 그것이다.

이런 이유로 야권 연대에 찬성도, 반대도 아닌 어정쩡한 자세를 취한 의원들은 ‘통진당과 가치적 연대를 할 만한 공통 기반이 있고, 국민적 동의를 얻을 수 있는지’ 먼저 자문해야 한다는 의견이 주를 이뤘다. 기타 의견을 낸 한 의원은 “통진당이 주사파 출신 의원들을 어떻게 수습하고 자정 능력을 회복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다른 의원은 “총선에서의 야권 연대는 민생을 외면한 여당을 심판해 보라는 국민의 요구를 따랐던 것”이라면서 “대선에서의 연대도 결국 국민 생각에 달려 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의원은 통진당의 비례대표 부정 경선을 겨눠 “문제가 있었다면 처벌받는 게 당연하다.”면서 “다만 당장 연대 파기는 시기상 맞지 않다. 민주당이 민생과 경제 민주화를 위해 어떤 비전을 세우고 여당과 경쟁할지 고민하는 게 우선이다.”고 강조했다.

‘후보 연대는 하되 정책 연대는 파기해야 한다’는 조건부 응답자는 7.5%(3명)를 차지했다. 양당이 이념적으로 어깨를 나란히 하지 않더라도 대선 승리를 위한 최소한의 연대, 즉 후보 단일화는 필요하다는 의견으로 읽힌다.

야권 연대를 향한 민주당의 구애는 현재진행형이다. 다만 관건은 통진당 혁신비상대책위원회의 자정 노력에 달려 있다. 민주당으로선 이석기·김재연 의원을 통진당이 스스로 털어내며 부담을 덜어 주길 바라는 것이다. 각종 대권주자 여론조사에서 새누리당 박근혜 전 비대위원장이 월등한 차이로 대세론을 점유한 상황에서 야권의 탈출구는 하나뿐이라는 데 민주당의 고민이 자리한다.

이재연·송수연기자 oscal@seoul.co.kr

2012-06-07 3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