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복잡한 ‘숫자 마케팅’ 홍보 했지만 효과는 “글쎄”

민주 복잡한 ‘숫자 마케팅’ 홍보 했지만 효과는 “글쎄”

입력 2011-07-25 00:00
업데이트 2011-07-25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1’(무상복지), ‘5+5’(반값 등록금), ‘10+2’(한·미 자유무역협정 재재협상 요구안).

민주당이 숫자 마케팅에 빠졌다. 여야 모두 ‘민생 복지’, ‘서민 경제’를 외치며 정책 경쟁에 나선 상황과 무관치 않다.

야당 입장에선 정책 공론화가 여의치 않다. 그렇다 보니 복잡하고 어려운 정책을 각인시키려면 숫자 마케팅이 효과적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당 관계자는 24일 “나열식으로 정리하면 정책이 산만하게 들린다. 숫자로 일목요연하게 모아 주면 대국민 설득전에도 유리하다.”고 말했다.

실제 민주당은 연초 ‘3+1’(무상급식·의료·보육) 무상복지를 내세워 복지 논쟁을 시도했다. 반값 등록금 정책 논쟁이 불붙기 시작한 5월에는 5000억원 추경 편성과 5개 관련 법안 처리를 뼈대로 한 ‘5+5’ 대책을 내놓았다.

지난 19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재협상을 요구할 때도 ‘10+2’라는 이름을 붙였다. 최근 경제 민주화를 다루는 당 기구를 발족하면서는 경제력 남용 방지를 위한 규제근거가 담긴 헌법 조항을 따 ‘헌법 119조 위원회’라는 명칭을 내세웠다.

숫자 마케팅은 18대 국회 초반기였던 2008년 말 여야 입법대치 상황에서 여권의 쟁점법안을 ‘MB 악법’으로 규정, 법안의 본래 명칭이 아닌 다른 이름으로 작명했던 전략의 변형된 형태라고 한다.

손학규 대표도 최근 최고위원회의 등에서 수치에 근거한 발언이 부쩍 늘었다. 핵심 측근은 “경제 정책에 대한 입장을 말하면서 수치를 대입하면 신뢰감을 준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숫자 마케팅은 불필요한 포퓰리즘 논란을 불렀다는 비판도 있다. 반값 등록금이 대표적이다. 한 정치 평론가는 “효율성에 기대 숫자 정치가 과도하면 무책임한 인상을 준다.”고 지적했다.

여권의 프레임에 기댄다는 평가도 있다. 당 관계자는 “민주당이 내놓은 숫자 마케팅은 돈과 연관된 보수적 프레임”이라면서 “숫자 뒤에 숨은 경제 논리를 파고들 게 아니라 야당이라면 정신적 가치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승부를 내야 한다.”고 충고했다.

구혜영기자 koohy@seoul.co.kr
2011-07-25 8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