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업무보고] ‘과학벨트’ 입지선정 공모 않기로

[새해 업무보고] ‘과학벨트’ 입지선정 공모 않기로

입력 2010-12-18 00:00
업데이트 2010-12-18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과학 부문

교육과학기술부는 국제 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 입지를 선정할 때 지방자치단체끼리 경쟁을 붙이는 공모 방식을 채택하지 않겠다고 17일 밝혔다. 교과부가 최적의 입지를 선정, 내년 12월쯤 수립하는 과학벨트 조성 기본계획에 포함시키겠다는 것이다.

교과부는 이날 기초과학연구원과 중이온가속기가 들어설 과학벨트 추진 방안과 함께 ▲내년 4월 상설 행정위원회로 국가 연구개발(R&D) 예산의 배분·조정·평가를 총괄할 국가과학기술위원회(국과위) 출범 ▲2015년까지 세계 30위권 대학(원) 3곳·200위권 대학원 10곳 육성 ▲우수 과학기술인재 지원시스템 구축 등의 내용을 담은 ‘2011년 주요 업무보고’를 했다.

이 가운데 과학기술인재지원 시스템은 ‘글로벌 박사 장학제도’(Global Ph.D Scholarship)의 약칭을 따 ‘GPS 시스템’이라고 이름 붙였다. 위성항법장치와 같은 약자를 쓰는 GPS 시스템이란 말에는 인재의 경력 단계별 추적관리를 통해 장학금과 연구비를 적시에 지원한다는 뜻도 담겨 있다고 교과부는 설명했다. GPS시스템의 일환으로 교과부는 박사과정생 300명에게 2년 동안 연 3000만원씩을 지원하는 ‘글로벌 박사 펠로십’ 지원사업과 박사후과정 15명에게 5년 동안 연 1억 5000만원씩을 지급하는 ‘대통령 포스트닥 펠로십’ 사업을 추진한다.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2010-12-18 4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