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인 듯 그림인 듯…亞 판화 문자도 70점

글자인 듯 그림인 듯…亞 판화 문자도 70점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0-06-01 22:06
업데이트 2020-06-02 01: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치악산 명주사 박물관 특별전

이미지 확대
19세기 조선시대로 추정되는 효의가 새겨진 문자도 목판(왼쪽)과 목판화.
19세기 조선시대로 추정되는 효의가 새겨진 문자도 목판(왼쪽)과 목판화.
글자와 그림이 어우러진 문자도(文字圖)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에서 서민의 일상 공간을 장식하는 생활예술이었다. 잡귀를 막기 위해 문에 붙이거나(문배도) 밖에서 집안을 들여다보지 못하게 가리는 용도(문병)로 활용했는가 하면 유교의 도리를 담은 효제도(孝悌圖)는 교육 효과와 더불어 미적인 감각을 선사했다.

강원도 치악산 명주사 고판화박물관이 마련한 특별전 ‘판화로 보는 동아시아 문자도의 세계’는 문자도 중에서도 판화로 찍은 문자도를 한자리에 모았다. 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의 문자도 판화와 문자도를 찍었던 목판 등 70여점을 선보인다.

조선시대 육필 문자도는 다양하게 발전했지만 판화 문자도는 소수 작품만 남아 있고, 판화 문자도를 찍었던 원판은 공개된 경우가 거의 없다. 고판화박물관은 이번 전시에서 판화 문자도로 제작된 문병과 효제도 목판 2점, 수복 문자도 목판 1점 등 최근 수집한 희귀 자료를 공개한다. 우리나라 문자도는 효제도가 주류를 이룬다.

중국 작품은 쑤저우에서 제작된 ‘수’(壽)자 목판화 문자도를 비롯해 다양한 다색 문자도를 선보인다. 일본은 나무아미타불 채색 문자도 등 불교 작품이 주로 소개되고, 베트남 문자도는 요즘도 신년에 집집마다 붙인다는 ‘복만당’(福滿堂) 등이 전시된다.

한선학 고판화박물관장은 “이번 특별전을 통해 동아시아인들의 생활예술 세계를 이해하고, 조형성과 디자인이 뛰어난 문자도의 창의성을 현대 생활예술에도 접목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전시는 7월 31일까지.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2020-06-02 23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