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문학, 체제 정당성에 활용…북한 주민들은 갈등하면서 노력도”

“북한문학, 체제 정당성에 활용…북한 주민들은 갈등하면서 노력도”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0-05-11 17:34
업데이트 2020-05-13 2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창은 교수 北 ‘조선문학’ 단편소설 분석 “소설처럼 현실에서 체제·개인 사이 혼란”

이미지 확대
북한문학은 여전히 체제의 정당성을 강조하는 데 활용된다. 한국전쟁을 왜곡하고 개인의 희생을 미화한다. 이런 환경 속에 놓인 북한 주민은 사실상 체제와 갈등하면서도 삶의 윤리를 끝없이 추구한다는 주장이 나와 눈길을 끈다.

오창은 중앙대 다빈치교양대 교수는 격월간지 ‘녹색평론’ 172호(5·6월호)에 이런 내용을 담은 ‘북한문학은 왜 전쟁을 미화하는가’를 실었다.
오 교수는 조선작가동맹중앙위원회 기관지이자 북한의 유일한 월간문학지 ‘조선문학’에 실린 전쟁을 다룬 단편소설 세 편을 분석했다. 2016년 8월호에 실린 오광천의 ‘대렬선창자’에서는 38경비여단의 모범 군인 리창기를 통해 한국전쟁을 ‘북침’으로 규정했다. 소설은 인민군협주단에서 리창기를 데려가려 했을 때 한국군이 38방어선을 넘어 침공하는 모습을 담았다.

백상균의 ‘로병동지’(2017년 5월호)는 정비 기술이 뛰어나지만 국가를 위해서만 기술을 쓰길 원하는 전쟁 노병 정춘성 노인을 그렸다. 김기성의 ‘금반지’(2016년 11월호)에는 만복과 옥란의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당시를 담았다. 만복은 지주의 손에서 옥란을 구하고 결혼까지 하지만 전쟁이 터지면서 입대한다.

소설에서는 개인의 희생이 공통으로 눈에 띈다. 리창기는 전쟁 선두에서 ‘국보급 목청’을 잃고 만다. 정 노인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깍듯하게 모시는 지위에 있지만 가족과 갈등을 겪다가 결국 가출해 성산수력발전소 건설장에서 홀로 살아간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웅 칭호를 받은 만복은 목숨을 잃는다. 오 교수는 이 소설들이 지배권력과 민중의 관계를 은유한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조직화한 폭력을 통해 인민을 억압하고 체제를 간신히 유지하면서 동시에 소설 등에 희생의 아름다움을 부각해 체제의 정당성을 준다.

냉정하게 판단하면 소설 주인공들도 현실과 이상의 모순을 겪는다. 현실의 북한 주민도 다르지 않다. 체제와 개인 사이에서 갈등한다는 게 오 교수의 분석이다. 예컨대 ‘금반지’는 만복의 마지막 편지를 받고 하염없이 눈물을 흘리는 옥란의 모습으로 끝을 맺는다. 만복의 영웅 칭호에 기뻐해야 할지 그의 죽음에 슬퍼해야 할지 난감한 상태가 결국 북한 주민들의 신세라는 뜻이다.

오 교수는 “개인의 생명과 행복보다는 집단의 안위와 체제의 유지를 우선시하는 ‘준전시적 위기감’이 북한 인민의 일상을 지배하지만, 민중은 국가주의에 온전히 포섭되지 않는 삶의 윤리를 끊임없이 탐색하고 실천해 왔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권력의 주인이 민중일 때만이 구성원의 자율에 기반한 판단과 결과(희생)가 아름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20-05-12 23면
많이 본 뉴스
고령 운전자 사고를 줄이려면
‘서울 시청역 역주행 사고’ 이후 고령 운전자 교통사고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다음 중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대책은 무엇일까요?
고령자 실기 적성검사 도입 
면허증 자진 반납제도 강화
고령자 안전교육 강화
운행시간 등 조건부 면허 도입
고령자 페달 오조작 방지장치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