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형도, 그를 잊지 못합니다… 내맘속 떠도는 겨울안개처럼

기형도, 그를 잊지 못합니다… 내맘속 떠도는 겨울안개처럼

입력 2009-03-06 00:00
업데이트 2009-03-06 01: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주기 산문집 발간… 추모행사 잇따라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 / 잘 있거라 짧았던 밤들아 / 창밖을 떠돌던 겨울안개들아 / … / 가엾은 내 사랑 빈집에 갇혔네’

술 자리에서 술 대신 콜라 마시기 좋아했던 청년, 작풍과는 다르게 활기차고 발랄한 청년이었던 시인 기형도(1960~1989). 그는 문단에 나타나 단 한 권의 시집도 자기 손으로 완성하지 못했다. 그는 곧 출간될 시집의 원고를 손에 쥔 채 서울 종로의 한 영화관에서 음울하게 세상과 작별 인사를 했다. 하지만 문청들의 마음 속에 이렇게 오랫동안 빈집으로 남아 있는 시인도 드물 것이다. 첫 시집이자 유고 시집이 된 ‘입 속의 검은 잎’은 1989년 출간 이후, 재판을 거듭하며 65쇄 24만부가 팔려 나갔다. 산문을 같이 엮은 전집만 해도 15쇄, 4만 7000부가 팔렸다. 문학을 꿈꾸는 청년들에게 아직 기형도는 겨울안개처럼 떠돌고 있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시인 기형도(1960-1989). 그가 남긴 건 유고 시집 ‘입 속의 검은 잎’이 전부지만 그 하나만으로도 여전히 독자들 가슴 속에 살아 숨쉰다. 문학과지성사 제공
시인 기형도(1960-1989). 그가 남긴 건 유고 시집 ‘입 속의 검은 잎’이 전부지만 그 하나만으로도 여전히 독자들 가슴 속에 살아 숨쉰다.
문학과지성사 제공
그가 떠난 지 20년, 3월7일 그의 기일을 맞아 한 주 동안 기형도를 추모하는 행사가 그득하다. 지난 3일에는 그를 추모하는 문인 27명이 산문집 ‘정거장에서의 충고-기형도의 삶과 문학’(문학과지성사 펴냄)을 냈다. 생전의 그와 인연이 있었던 문인들의 글과 기형도를 주제로 한 비평 등을 모았다. 출간과 더불어 각종 행사도 이어졌다.

1980~1990년대를 거쳐 온 문인들에게 기형도는 통과의례이자 열병이었다. 90학번인 시인 김행숙은 당시에는 ‘자발적으로든 분위기에 휩쓸려서든’ 기형도를 읽을 수밖에 없었다고 회고한다. 김행숙이 선물로 받은 첫 시집도 기형도의 ‘입 속의 검은 잎’이었다. 재수시절 처음 ‘기형도 월드’를 접했다는 김경주는 김행숙과 반대로 가장 많이 준 선물이 ‘입 속의 검은 잎’이다. 김행숙의 말대로 이들은 어쩔 수 없는 ‘포스트 기형도 세대’인 셈이다.

젊은 문인들에게 기형도는 넘어야 할 산이면서도 또 쉽게 떨치지 못하는 존재였다. 시인 심보선은 기형도가 ‘부정하고 싶은 신화’라고 했지만, 오랜만에 기형도 전집을 펼쳐 보고는 ‘얼굴이 화끈거릴 정도로’ 부끄러웠다고 고백한다. 떠난 시인에게서 받은 영향이 너무나 크다는 것을 스스로도 인정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추모문집은 3부로 구성했다. 1부는 포스트 기형도 세대 시인들의 좌담과 글을 모아, 한국 문학에서의 기형도가 가지는 의의를 밝혔다. 생전에 만났던 문인들의 산문을 모은 2부는 기형도의 인간적인 면모와 고민을 생생히 전해준다. 3부는 그간의 기형도 비평 가운데 수작을 뽑아 모았다.

지난 5일에는 추모문집 발간에 맞춰 문학콘서트도 열렸다. 서울 홍대거리 한 카페에서 열린 행사는 시인 성기완의 사회로, 소설가 성석제, 한강, 시인 이문재, 황인숙 등의 시낭송, 그룹 ‘더 촙(the Chop)’의 공연이 이어졌다.

6일 오후 7시에는 기형도가 나서 자란 광명시에서 추모행사를 연다. 시민회관에서 열리는 행사 ‘어느 푸른 저녁의 노래’는 사진전과 음악 등이 어우러진 ‘기형도 회고전’이다. 기형도의 생전 친구이자 평론가인 장석주를 비롯, 시인 정희성이 출연해 기형도의 시를 낭송한다. 또 ‘엄마 생각’ 등 시인의 대표시에 곡을 붙인 헌정곡도 부른다. 시화전, 음악공연, 시 쓰기 행사도 함께 진행한다.

오는 13일 KBS 1TV ‘낭독의 발견’에서도 기형도를 집중 조명한다. ‘영원한 청년, 시인 기형도를 읽다’편에 시인 이문재, 소리꾼 이자람 등이 시낭송과 노래공연을 펼친다. 그리고 생전에 남아 있던 그에 대한 기억을 나눠본다.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2009-03-06 21면
많이 본 뉴스
고령 운전자 사고를 줄이려면
‘서울 시청역 역주행 사고’ 이후 고령 운전자 교통사고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다음 중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대책은 무엇일까요?
고령자 실기 적성검사 도입 
면허증 자진 반납제도 강화
고령자 안전교육 강화
운행시간 등 조건부 면허 도입
고령자 페달 오조작 방지장치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