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자리 못찾은 수표교

제자리 못찾은 수표교

서재희 기자
입력 2005-10-03 00:00
업데이트 2005-10-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시는 2일 청계천 복원을 기념하기 위해 ‘10월 서울시 문화재’로 수표교(水標橋·서울시 유형문화재 제18호)를 선정했다. 청계천 22개 다리 가운데 수표교만큼 청계천을 대표할 만한 역사유물이 없다는 판단에서다. 그러나 수표교는 청계천이 아닌 장충단공원에 있다. 서울시는 수표교를 청계천 원래의 자리에 복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만 결정을 못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수표교 복원여부 ‘결정보류’

서울시는 지난달 28일 시 문화재위원회를 열고 수표교 이전·복원여부에 대한 의견을 물었으나 위원회는 보류결정을 내렸다. 앞서 2004년 4월 문화재청 사적분과위원회는 시에 수표교의 이전·복원을 원칙으로 하되 구체적인 복원 계획은 이후에 제출하도록 했다. 시는 이를 위해 2004년 6월부터 지난 7월까지 장충단공원 수표교에 대한 정밀실측조사, 정밀안전진단, 수리검토 및 모형 실험, 복원기본설계에 대한 용역을 실시했다.

용역 결과 수표교는 장충단공원으로 옮겨지면서 교각석·멍에석·귀틀석 등 주요 부재가 없어지거나 망가졌으며, 하부 교각은 콘크리트에 묻혀서 해체시 추가 훼손이 예상됐다. 하부 교각의 49%, 멍에석의 29%, 귀틀석의 5%, 상판석의 16%는 새 돌로 바꿔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또 수표교 길이(27m)가 청계천 너비(23m)보다 긴 데다 장마철 수표교 교각으로 인한 병목현상으로 물이 범람할 것에 대비해 하천 양측 240여m 구간을 너비 10m 안팎으로 확보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시는 주변 토지 803㎡와 건물 13개동을 사들여야한다.

이전·복원-찬반 논란

시는 원칙적으로 중립적인 입장이지만 만만치 않은 이전비용과 추가 훼손 문제를 들어 이전·복원에 다소 소극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복원 비용은 청계천 주변 토지·건물 수용에 137억(부분수용시)∼507억원(전체수용시) 등 총 433억 1000만∼803억 7200만원이 투입될 것으로 추정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역사적인 맥락에서는 청계천 이전·복원이 바람직하지만, 그 과정에서 원형의 추가 훼손이 예상되므로 문화재보존 측면에서는 장충단공원에 보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반면 문화연대 등 시민단체는 청계천을 역사와 문화가 살아 있는 하천으로 만들기 위해서 수표교 이전·복원은 불가피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수표교

세종 2년(1420년) 현재의 청계천 2가 자리에 세워진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석재 다리로, 당시 청계천 양쪽의 북촌과 남촌을 연결해 주었다. 처음 만들어졌을 때는 말 시장인 마전(馬廛)앞에 있다고 해 마전교라고 불렸으나, 세종 23년(1441년) 다리 서쪽에 나무로 수표(水標)를 세워 청계천 수위를 측정하기 시작하면서 수표교라고 불렸다. 장안의 명물이었던 수표교는 1959년 청계천 복개공사 때 원래의 자리를 떠나 중구 장충단공원으로 이전됐다.

김유영 서재희기자 carilips@seoul.co.kr
2005-10-03 7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