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에겐 빠르고, 다른 이에겐 느리게 가는 시간의 비밀

누구에겐 빠르고, 다른 이에겐 느리게 가는 시간의 비밀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4-01-02 11:20
업데이트 2024-01-02 11: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우리가 이야기하는 ‘시간’은 과학적으로 정확히 정의할 수 없는 개념이다. 이 때문에 현재를 이해하기 위해 만든 일종의 허상이라는 지적도 있다.  픽사베이 제공
우리가 이야기하는 ‘시간’은 과학적으로 정확히 정의할 수 없는 개념이다. 이 때문에 현재를 이해하기 위해 만든 일종의 허상이라는 지적도 있다.

픽사베이 제공
2024년 한 해가 밝았다. 아이들은 ‘시간이 빨리 지나가 어른이 됐으면’하는 마음을 갖지만, 어른들은 반대로 ‘한 일도 없이 한 해가 지났네’라면서 시간이 흐르는 것을 아쉬워한다.

‘시간’이란 무엇일까. 중세 교부철학을 정립한 아우구스티누스는 “시간이란 무엇인가? 아무도 나에게 묻지 않을 때는 잘 알고 있는 것 같은데, 막상 설명하려면 모르겠다”라고 말했다. 이렇듯 알 듯 말 듯 아리송한 시간에 관한 과학책들이 최근 잇따라 출간돼 독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이미지 확대
시간의 기원(알에이치코리아)
시간의 기원(알에이치코리아)
‘시간의 과학자’라고 하면 가장 떠오르는 사람은 2018년 타계한 영국의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이다. 호킹이 1988년 내놓은 ‘시간의 역사’는 지금까지 전 세계적으로 2500만 부 이상이 판매됐을 정도로 과학 교양서의 이정표를 세운 책이다. ‘시간의 역사’에서 시작된 호킹의 이론은 호킹의 제자인 토마스 헤르토흐 벨기에 루벵 가톨릭대 교수가 쓴 ‘시간의 기원’(알에이치코리아)으로 일단락된다.

호킹은 빅뱅과 시간에 관해 연구하던 중 ‘다중우주’라는 문제에 맞닥뜨렸다. 이에 그는 양자물리학을 바탕으로 법칙이 우주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우주가 법칙을 위해 존재한다는 ‘하향식 우주론’을 펼쳤다. 우주와 시간에 대한 호킹의 독특한 상상력과 함께 어려운 현대 물리학 이론도 알기 쉽게 풀어내고 있다.
이미지 확대
시간 여행을 위한 최소한의 물리학(미래의창)
시간 여행을 위한 최소한의 물리학(미래의창)
‘시간 여행을 위한 최소한의 물리학’(미래의창)은 시간을 멈출 수 있을까, 시간은 존재하는 것일까, 그렇다면 시간은 무엇일까, 타임머신을 만들 수 없는 진짜 이유는 뭘까 등 시간에 대해 우리가 궁금했던 점을 깊이 파고 든다. 과학적으로 과거, 현재, 미래라는 구분은 환상에 불과하고, 우리가 보고 있는 것들도 과거의 흔적일 뿐이다. 빛이 우리 눈에 도달하고 인식하기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지금’이라는 것은 있는 것이겠느냐는 같은 생각할수록 골치 아프지만 흥미진진한 주제를 재미있게 풀어낸다. 시간은 어쩌면 인간이 세상을 이해하기 위해 만들어 낸 허상일지도 모른다고 지적한다.
이미지 확대
살아 보니, 시간(생각의힘)
살아 보니, 시간(생각의힘)
‘살아 보니, 시간’(생각의힘)은 ‘과학책방 갈다’ 대표 이명현 박사, 이정모 펭귄 각종과학관장, 김상욱 경희대 교수가 시간에 관해 나눈 대화를 정리한 책이다. 사람들은 과학에서는 시간을 정확히 정의하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과학자들은 시간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내리지 않고 있다. 세 사람은 우리가 흔히 쓰는 과거-현재-미래는 환상이라고 주장하며, 시간이 흐른다고 느끼는 것은 ‘기억’ 때문이며 변하는 것은 시간이 아니라 ‘나’라고 강조하며 시간을 과학적으로 이리저리 해부하는 과정은 흥미진진하다.

이들 책에서 이야기하는 것은 “과거-미래에 연연하는 것은 과학적으로도 모순된 행동”이며 “아픔, 상처, 아쉬움, 머뭇거림 등을 떨쳐내고 오늘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는 점이다.

유용하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