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1만년 문명사 풀이

인류 1만년 문명사 풀이

입력 2011-11-12 00:00
업데이트 2011-11-1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충적세 문명】김유동 지음 도서출판 길 펴냄



‘충적세 문명’(김유동 지음, 도서출판 길 펴냄)은 ‘1만 년 인간문화의 비교문화구조학적 성찰’이라는 부제에서도 알 수 있듯이, 농경생활을 시작한 인류문명의 지난 1만 년 동안의 문명사를 풀어내고 있다. 원시인간의 문화구조에서부터 문명의 발생, 인도·동양·중동 및 유대인·서양, 그리고 현대의 문화구조를 동·서양 철학자와 문학자, 인문학자들의 저서와 발언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서 비교, 정의했다.

대학에서 독문학을 가르치고 있는 인문학자인 저자는 현대인의 삶이 펼쳐지는 모더니티라는 시간과 공간을 충적세 이후, 농경이 시작된 인위적 문명의 전체적인 그림 속에서 확인하려고 했다. 그는 현대성을 규정하고 있는 모더니티를 문명의 파국으로 몰고 갈 그 무엇으로 정의하면서 이 시대 지식인의 책무는 “사유를 다시 가동시키는 데 있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한 방편이자 유용한 척도로 동양의 문화구조를 제시했다. 저자는 들어가는 말에서 “문명의 발생은 필연적으로 지배의 발생을 가져왔지만, 동양의 문화구조는 ‘지배’를 완화하면서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를 좀 덜 모순적이고 좀 더 상보적인 관계로 만들었다.”고 말했다.

“현대성의 문화구조 속에서 ‘자본의 논리’가 득세하는 정도에 비례해 ‘하나로 엉킨 생명의 연대’를 해체하고, 산의 맥(脈)을 끊고 강의 흐름을 막으며 차별을 극대화하는, 생명에 기초한 ‘가치’와 ‘의미’ 일반의 몰락을 목격하게 된다.”고 개탄한다.

결론격인 9·10장의 현대의 문화구조에서는 파시즘은 자본의 논리 또는 모더니티에 담긴 필연적 귀결이라고 질타하고 현재의 자본주의는 자본주의 체제 자체를 위협하고, 모더니티라는 근·현대 문화구조 자체를 해체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렇지만 저자는 “한쪽 극에 달한 시계추의 위치 에너지가 다른 방향으로 나가는 운동 에너지로 전환되듯, 극에 달한 자본의 논리는 스스로를 지양하면서 우리가 짐작 못한 변환능력을 보여줄지 모른다.”며 미래를 긍정했다. 3만원.

이석우편집위원 jun88@seoul.co.kr
2011-11-12 1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