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실은 왜 ‘알록달록 천자문’ 만들었을까

조선 왕실은 왜 ‘알록달록 천자문’ 만들었을까

안동환 기자
안동환 기자
입력 2017-01-09 20:52
업데이트 2017-01-10 01: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학중앙硏 ‘장서각 소장’ 역해…세자·왕자 ‘돌잡이용’으로 추정

‘쑥색 비단’ 표지에 빨강, 파랑, 노랑, 분홍, 초록, 하양의 염료로 물들인 장지를 묶어낸 후 당대의 명필인 석봉 한호체를 쓴 알록달록 화려한 ‘천자문’. 바로 조선 왕실이 만든 ‘천자문’으로 장서각에 유일본으로 전하는 필사본이다.

이미지 확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이 소장하고 있는 조선 왕실 ‘천자문’ 내지. 여섯 가지 색깔(적·청·황·홍·녹·백)의 염료로 물들인 장지를 쓴 게 특징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제공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이 소장하고 있는 조선 왕실 ‘천자문’ 내지. 여섯 가지 색깔(적·청·황·홍·녹·백)의 염료로 물들인 장지를 쓴 게 특징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제공


이미지 확대
조선시대 화가 단원 김홍도가 1781년 9월에 그린 풍속화 ‘모당홍이상공평생도’. 모당 홍이상(1549~1615)의 일생을 그린 여덟 폭 병풍으로, 집안 돌잔치의 정중앙에 위치한 아기가 ‘돌잡이’로 천자문을 집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조선시대 화가 단원 김홍도가 1781년 9월에 그린 풍속화 ‘모당홍이상공평생도’. 모당 홍이상(1549~1615)의 일생을 그린 여덟 폭 병풍으로, 집안 돌잔치의 정중앙에 위치한 아기가 ‘돌잡이’로 천자문을 집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한국학중앙연구원이 9일 조선 왕실 자료의 문화사적 가치를 전하기 위해 ‘천자문-장서각 소장 왕실 천자문 역해’를 펴냈다.

특이하게도 한문학자와 국어사 전공자들이 공동으로 역해를 했다. 왕실 천자문이 사언고시 형식으로 된 만큼 ‘8자 2구’를 단위로 한문에 대한 기본 역해를 한문학자들이 썼다. 그리고 작은 글자로 적힌 한글 부분은 국어사 학자들이 각 글자의 음훈을 여러 이본과 비교해 풀어냈다.

왕실 천자문의 쓰임새도 주목된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은 이 책이 세자나 왕자의 돌상에 붓·실과 함께 놓였던 ‘돌잡이용’으로 추정한다. 아기의 시선을 끌기 위해 화려한 색상의 천자문을 따로 만들었다는 설명이다.

안병희 전 서울대 교수는 해제에서 “돌이 된 세자나 왕자가 천자문을 집게 해 학문을 가까이 하였으면 하는 왕실의 바람이 담긴 것으로 이해된다”며 “이 천자문이 학습을 위한 책이 아니라, 돌상에 오른 책으로 보는 게 온당하다”고 말했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7-01-10 2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