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식물 보고 산림습원 DMZ에서 9곳 발견

희귀식물 보고 산림습원 DMZ에서 9곳 발견

한상봉 기자
한상봉 기자
입력 2023-08-22 10:07
업데이트 2023-08-22 12: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54종, 국내 특산식물 14종

이미지 확대
철원읍 외촌리에서 발견된 산림습원 전경. 국립수목원 제공.
철원읍 외촌리에서 발견된 산림습원 전경. 국립수목원 제공.
산림청 국립수목원이 DMZ 일대 중부지역에서 53ha에 이르는 새로운 산림습원 9개소와 희귀식물 자생지를 대거 확인했다. 이 중 선제비꽃의 자생지는 국내에서 최대 군락지로 알려졌다.

22일 국립수목원에 따르면 산림습원은 산림의 습지뿐만 아니라, 과거 화전 경작 등의 활동으로 형성된 수분을 다량 함유한 지형 또는 수분이 공급되는 지점을 말한다. 산림생태계에서 수생태계와 산지 환경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생물다양성의 보고로 꼽힌다.

접근이 어려운 민통선 내에서의 산림습원 발견은 작년 서부지역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수목원은 이번 9개소의 산림습원에서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54종, 우리나라 특산식물 14종을 포함한 총 97과 310속 596종의 식물 분포를 확인했다.

선제비꽃 자생지는 국내 최대 군락지
이미지 확대
선제비꽃의 청순함
선제비꽃의 청순함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인 선제비꽃의 청순한 자태.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돼 있다. 국립수목원 제공.
특히 이번에 발견된 산림습원에서는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인 선제비꽃(멸종위기종), 눈향나무, 긴잎꿩의다리(위기종), 옹굿나물, 삼지구엽초, 쑥방망이(취약종) 등 다수의 희귀식물 자생지가 발견됐다. 이중 선제비꽃 자생지는 국내 최대 군락지다.

그러나 민통선 안쪽이라는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산림습원을 보전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군사훈련 등의 인위적 훼손이 확인돼 꾸준하고 세심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실정이다.

최영태 국립수목원장은 “국내 분포 산림습원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지정 등 체계적인 관리와 보전할 계획”이라고 하였다.
한상봉 기자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