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中 만든 근현대 알리고 싶다”

“오늘의 中 만든 근현대 알리고 싶다”

입력 2012-06-13 00:00
업데이트 2012-06-1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명호 성공회대 교수 ‘중국인 이야기’ 단행본 출간

“중국인을 만나면 왜 한국인들은 마오쩌둥만 아느냐고 묻습니다. 중국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알아야 할 사람들이 많은데 말이죠. 중국의 오늘을 만든 근현대의 뿌리를 적극적으로 알려주고 싶은 마음뿐입니다.”

이미지 확대
김명호 성공회대 교수
김명호 성공회대 교수
12일 서울 중구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만난 성공회대 중어중국학과 김명호(62) 교수는 신간 ‘중국인 이야기’(한길사 펴냄)의 의미를 이렇게 소개했다. ‘중국인 이야기’는 6년째 한 주간신문에 연재한 칼럼에 살을 붙이고, 사용하지 못한 사진자료 등을 풍부하게 넣은 단행본이다. 이번에 나온 것은 첫 번째 책으로, 앞으로 10권까지 낼 계획이다.

책의 내용은 김 교수가 홍콩이나 타이완 타이페이에서 수집한 일기, 서한, 회고록 등 1차 자료가 기본이 됐다. 1980년대 초 지방 국립대를 그만두고 퇴직금으로 주말마다 다니기 시작한 것이 벌써 30여 년째다. 김 교수는 당시 홍콩에서 현지 소식을 접하면서 “우리나라에서 접한 중국 관련 뉴스는 80% 이상이 공갈(거짓말)이었구나 느꼈다.”고 했다.

왜 근현대에 집중했을까. “19~20세기는 중국에 있어서 가장 열정적인 시기였다.”면서 “중일전쟁부터 문화혁명까지 역사를 따지면 삼국지와 수호지가 오히려 식상하게 느껴질 것”이라고 했다. 지면의 한계 때문에 주간신문에 쓰지 못한 얘기를 책에 많이 담았다고 소개했다. “가르치는 학생들에게 물어 재미있고 궁금한 내용을 싣기도 하고, 쓰기 민망한 이야기도 녹일 생각을 하고 있다. 책을 읽고 난 뒤에는 중국인들과 밤새 얘기할 수 있는 거리가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최여경기자 kid@seoul.co.kr

2012-06-13 27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