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 공정성·공론장을 말하다

한국 사회 공정성·공론장을 말하다

입력 2011-05-25 00:00
업데이트 2011-05-25 00: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양사학회 28일 학술대회

한국서양사학회는 28일 서울 안암동 고려대학교 인촌기념관에서 ‘서양역사 속의 공공성과 공론장’을 주제로 학술대회를 연다.

공공성은 최근 크게 호응을 얻고 있는 개념. 이명박 정부가 내세운 공정사회론과도 맥이 닿아 있고, 최근 우리 학계에서 일고 있는 공화주의에 대한 깊은 관심과도 연결되어 있다. 공적인 영역이란 무엇이고, 어떤 것이 공적으로 성취되어야 할 일인가라는 얘기다.

보통 공공성, 공론장하면 많이 거론되는 인물이 독일의 철학자 위르겐 하버마스였다. 궁정문화에서 부르주아 공론장으로 어떻게 이동했는가, 그리고 그렇게 탄생했던 부르주아 공론장이 어떤 식으로 식민화되고 있는가, 그렇기에 지금 시대에 공론장을 어떤 식으로 되살려야 할 것인가라는 게 하버마스의 문제의식이었다.

하버마스가 공론장의 위축에서 가장 우려했던 것 가운데 하나는 시장권력이 공론장을 침탈할 가능성이었다. 먼 얘기가 아니라 우리 주변에서 흔히 벌어지는 얘기다. ‘경제는 경제논리에 따라’라는 이데올로기를 금과옥조로 삼은 이들이 경제 논리 이외의 접근방식으로 공동체적 가치를 논의하는 것을 무조건 반경제적이라 몰아붙이는 세태가 그것이다.

기조발표자는 조승래 청주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서양 근대 공사 구분의 지적 계보’를 발표한다.

조 교수는 자유시장주의 논리가 전체주의에 맞서는 것을 강조하다보니 공동체적 가치를 무너뜨리는 우를 범하고 있다는 입장에 서 있다. 무엇이 전체 공동체에게 이득이 되는지 따져보는 지혜를 찾기 위해 공화주의가 되살아나야 한다고 보는 입장인 것이다.

이어지는 토론에서는 정일준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가 ‘공론장, 서양과 동양, 과거와 현재’를, 홍용진 고려대 교수가 ‘14세기 프랑스 봉건왕국의 통치이념과 ‘공’개념을, 조용욱 국민대 교수가 ‘근대 영국에서의 공공영역: 임의단체와 도덕개혁’을 각각 발표한다.

또 노명환 한국외대 교수는 ‘공공성과 공론장으로서 기록보존소의 활용; 그 역사와 현황, 그리고 미래 발전방향’을 발표한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05-25 2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