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18세기 왕실·귀족 애장품들

17~18세기 왕실·귀족 애장품들

입력 2011-05-03 00:00
업데이트 2011-05-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바로크’라는 말에는 여러 해석이 있지만 ‘비뚤어진 모양을 한 기묘한 진주’라는 뜻의 포르투갈어라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르네상스에 대한 반동의 흐름으로 나타났고 음악, 미술, 패션, 음식 등 여러 분야에서 17세기 유럽 귀족들의 생활상을 규정지었던 문화다. 로코코 문화는 바로크 문화의 확장에 가깝다.

이미지 확대
모스크바 크렘린 공방, 성작, 1702년. 빅토리아&알버트 박물관 제공
모스크바 크렘린 공방, 성작, 1702년.
빅토리아&알버트 박물관 제공
영국은 지역적인 이유로 17~18세기 유럽을 휩쓴 바로크·로코코 문화의 주변부가 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산업혁명의 성과와 드넓은 식민지는 대륙 문화를 고스란히 흡수한 섬나라로 살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영국 런던의 빅토리아&알버트 박물관은 건축물부터 시작해 옷, 조각, 자기, 보석, 가구, 미술품 등 아기자기한 실내 인테리어 소품에 이르기까지 유명 소장품이 많다. 작은 유럽의 궁정이라 할 수 있는 이곳을 책, TV만을 통해 찔끔찔끔 보지 않고, 또한 애써 돈과 시간을 들이지 않고도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왔다.

국립중앙박물관은 3일부터 ‘바로크·로코코 시대의 궁정 문화’를 주제로 영국 빅토리아&알버트 박물관 소장 유물 101점을 기획 전시한다. 8월 28일까지 열리는 특별전에서는 유럽 군주들이 아끼고 늘 곁에 뒀던 최고급 장식품을 선보인다. 왕실과 귀족을 비롯한 유럽 최상위 계층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자리다.

빅토리아&알버트 박물관은 특히 17~18세기 장식 미술 분야에서 세계적 권위를 인정받는다. 상설 전시실 가운데 ‘1600~1800년 유럽’ 전시관이 보수 공사에 들어감에 따라 ‘한국 나들이’가 가능해졌다는 후문이다.

김영나 박물관장은 “이번 전시는 그동안 알고 있던 이 시대 미술의 영역을 넓힐 수 있는 흥미로운 시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1-05-03 2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