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주·청주·막걸리… 눈으로 취해 볼까

소주·청주·막걸리… 눈으로 취해 볼까

입력 2010-02-19 00:00
업데이트 2010-02-1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MBC라이프 19~21일 ‘한국의 전통주’ 3부작

술은 더 이상 단순한 음료가 아니다. 와인 하면 프랑스, 사케 하면 일본, 보드카 하면 러시아를 떠올릴 정도로 술은 민족 정서, 민족성을 뚜렷이 드러내는 하나의 문화로 각광받고 있다. 최근 한국 전통주인 막걸리가 ‘웰빙주’로 나라 안팎에서 관심을 끌고 있는 상황. 입이 아니라 눈으로 우리 전통주에 취해 보는 것은 어떨까.
이미지 확대
19~21일 방송되는 다큐멘터리 ‘한국의 전통주’의 한 장면. MBC라이프 제공
19~21일 방송되는 다큐멘터리 ‘한국의 전통주’의 한 장면.
MBC라이프 제공


다큐멘터리 채널 MBC 라이프가 3부작 다큐멘터리 ‘한국의 전통주’를 19~21일 밤 12시 연속 방영한다.

우리 전통주의 대명사인 소주, 청주, 막걸리에 대한 모든 것을 알아보는 시간이다. 과학적인 검증을 통해 전통주의 우수성을 재발견하는 한편, 그 가치를 국내외적으로 제대로 알리기 위해 기획됐다. ‘대장금’과 ‘선덕여왕’ 등에서 열연했던 연기자 임호가 내레이션을 맡았다.

1부에서는 ‘금지된 술, 소주, 서민의 벗이 되다.’란 주제로 소주를 재조명한다. 고려시대 몽골군에 의해 한반도에 처음 등장했다고 하는 소주. 조선시대 양반사회에서 고급 양주 못지않게 각광받았다. 조선시대 수백여종에 달하던 가양주(집에서 빚는 술)가 자취를 감추게 된 까닭과 증류식이었던 전통 소주가 희석식으로 바뀌게 된 배경 등을 살펴본다.

2부는 제주(祭酒)로 사용되는 ‘귀한 술’ 청주가 주인공이다. ‘청주, 부활을 꿈꾸다.’를 통해 청주의 탄생과 잊혀진 역사를 알아본다. 일본 청주인 사케가 우리 청주보다 인기를 끌고 있는 게 현실이지만, 일본 고서에 따르면 우리 전통 청주가 백제인에 의해 일본으로 건너가 사케가 됐다. 젊은 술 연구가 류인수와 함께 전통 청주를 직접 빚어 보며 우수성을 확인해 본다.

3부는 막걸리의 몫이다. ‘풍속화로 만나는 막걸리’에서는 최근 새로운 주류 문화를 이끌며 국민적인 사랑을 받고 있는 막걸리에 대해 알아본다. 일본에서도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고, 미국 시장도 개척하고 있는 막걸리에 대해 과학적으로 접근해 본다. 또 막걸리의 세계화에 대한 외국인들의 생각도 들어본다.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
2010-02-19 24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