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트해 소국 리투아니아에서도 ‘유니콘’ 배출

발트해 소국 리투아니아에서도 ‘유니콘’ 배출

김규환 기자
입력 2019-12-02 15:13
업데이트 2019-12-02 15: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옛소련에서 독립한 북유럽의 작은 나라 리투아니아에 세계적인 스타트업(신생 벤처)을 탄생했다. 사진은 빈티드 로고. 빈티드 웹사이트 캡처
옛소련에서 독립한 북유럽의 작은 나라 리투아니아에 세계적인 스타트업(신생 벤처)을 탄생했다. 사진은 빈티드 로고. 빈티드 웹사이트 캡처
1991년 옛소련에서 독립한 북유럽의 작은 나라 리투아니아에서 세계적인 스타트업(신생 벤처)을 배출했다.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온라인 중고의류를 거래 플랫폼인 ‘빈티드’(Vinted)는 지난달 28일 1억 4000만 달러(약 1653억원) 규모의 실리콘밸리 자본 투자를 끌어들인 데 힘입어 기업가치 10억 유로(약 1조 3000억원)를 인정받았다고 밝혔다. 인구 290만에 불과한 리투아니아에 최초의 ‘유니콘’(기업가치 10억 달러 이상 스타트업)이 탄생한 것이다. 미국과 중국은 유니콘이 200여개에 이르지만 한국은 6개 정도이고 기술강국 일본도 3개밖에 안 된다.

빈티드는 공동 창업자인 밀다 미트쿠테와 유스타스 야나우스카스가 옷장에 쌓여 있는 입지 않는 옷을 처분할 방법을 고민하다가 중고의류 판매사업 아이디어를 떠올리면서 2008년 리투아니아 수도 빌뉴스에서 설립됐다. 중고의류나 액세서리 거래를 원하는 수요는 예상보다 많았고, 이 덕분에 사업은 빠르게 성장했다. 빈티드는 독일에 이어 2010년 미국에 진출했으며, 2012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도 출시하며 사세를 넓혔다. 취급 품목도 여성의류 중심에서 남성의류와 아동의류 등으로 확장했다. 현재 세계 12개국의 2500만 명 이상의 회원이 빈티드를 통해 중고 물품을 거래하고 있다. 가장 큰 시장은 독일과 프랑스, 스페인, 벨기에 등이다. 지난해 매출은 3290만 유로로 한 해 전보다 3배 가까이 급증했다. 반면 사업 확장에 따른 마케팅 비용 증가로 순손실도 4배 이상 늘어난 4200만 유로를 기록했다.

2016년 빈티드에 합류한 토머스 플랜탱가 최고경영자(CEO)는 이번에 유치한 자금으로 사업을 더욱 확장할 계획이다. 서비스 진출국을 늘리고, 필요하다면 인수·합병(M&A)도 시도할 계획이다. 다만 기업공개(IPO)는 미정이다. 플랜탱가 CEO는 “지금은 회사의 재무상황을 예측하기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며 “장래에 관한 특별한 계획은 없으며, 모든 가능성에 대해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