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깜짝 방북’ 히든카드는 DNI 국장…CNN “오바마, 석방 촉구 친서 전달”

‘깜짝 방북’ 히든카드는 DNI 국장…CNN “오바마, 석방 촉구 친서 전달”

입력 2014-11-10 00:00
업데이트 2014-11-10 02: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 특사는 최고 정보기관장

이번엔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도, 지미 카터 전 대통령도, 빌 리처드슨 전 뉴멕시코 주지사도 아니었다. 미국 정보 당국 최고 책임자인 제임스 클래퍼 국가정보국(DNI) 국장이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특사로 방북해 8일(현지시간) 미국인 억류자 두 명을 데리고 귀환했다. 전직 대통령 등 고위급 정치인 출신이 아니라 정부 당국자, 그것도 최고위 정보기관장이 특사로 방북해 석방 협상을 하고 돌아온 것은 이례적이다.

이미지 확대
평양 간 DNI 국장과 美 특별기
평양 간 DNI 국장과 美 특별기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특사로 방북한 제임스 클래퍼(왼쪽) 미 국가정보국(DNI) 국장이 7일 장기간 억류돼 있던 케네스 배와 매슈 토드 밀러의 석방 협상을 위해 평양에 도착한 뒤 북한 당국자와 대화를 나누고 있다.

CNN 웹사이트 캡처
미국과 북한은 지난 8월 미 당국자들이 평양을 방문해 억류자 석방에 대한 본격 협상을 시작한 뒤 특사의 급을 둘러싸고 줄다리기를 해 왔다. 북한은 클린턴, 조지 W 부시 등 전직 대통령급을 보내라고 암시해 왔으나 미측은 로버트 킹 국무부 북한인권특사, 글린 데이비스 대북정책특별대표 등을 특사로 제안해 이견을 보였다. 그러다가 북한은 지난달 21일 또 다른 억류자인 제프리 에드워드 파울을 조건 없이 풀어 줘 유화적 제스처를 보냈다. 이어 최근 미측에 국무부 소속이 아닌 정부 고위 당국자를 보내라고 전하면서 ‘클래퍼 카드’가 나온 것이다.

미국은 정치인이나 외교관이 아닌 정보 당국 수장을 보내 핵 문제 등 정치적 협상보다는 인도주의적 석방 추진을 강조했고, 북한은 장관급인 클래퍼 국장을 만나 협상함으로써 억류자 석방 명분을 살렸다는 평가를 받는다. DNI 측은 “클래퍼 국장은 북측의 입장을 경청했으며, 미측의 달라지지 않은 입장을 설명했다”고 밝혔다.

클래퍼 국장의 특사 활동은 그동안 DNI가 억류자 석방에 상당히 개입해 왔다는 점에서 적절한 카드였다는 평가다. 지난 8월 미 당국자들의 방북 때에도 DNI 실무자가 동행했으며, 클래퍼 국장은 중앙정보국(CIA) 등 산하 10여개 정보기관으로부터 취합한 정보를 매일 오바마 대통령에게 직접 보고하면서 석방 전략을 짜 온 것으로 알려졌다.

클래퍼 국장은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은 만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지만 북한 당국자들을 만나 오바마 대통령의 메시지를 전했을 가능성도 있다. CNN 방송은 9일 정부 고위 관계자의 발언을 인용해 클래퍼 국장이 오바마 대통령의 친서를 북한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오바마 대통령이 편지에서 클래퍼 국장을 억류 미국인들의 귀환을 위한 자신의 ‘개인 특사’라고 지칭했으며, 편지 내용은 “짧고 명료했다”고 말했다. CNN은 또 북한 정부가 “오바마 대통령으로부터 억류 미국인들의 행동에 대해 진심 어린 사과를 받았으며, 김정은 위원장이 석방을 지시했다”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뉴욕타임스는 “대통령의 친서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4-11-10 3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