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EU에 개인정보 보호 완화 로비 성공”

“미국, EU에 개인정보 보호 완화 로비 성공”

입력 2013-06-13 00:00
업데이트 2013-06-13 10: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오바마 행정부가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를 상대로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는 내용의 입법을 막기 위한 로비를 벌여 성공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 인터넷판이 13일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EU 시민들에 대한 자국 정보기관의 스파이 활동을 제한할 우려가 있는 입법 활동을 저지하기 위해 EU 집행위를 상대로 집중 로비를 벌여 성과를 거뒀다.

미국 정부에 도·감청 권한을 부여한 해외정보감시법(FISA)을 무력화시킨다는 의미에서 EU 내에서 ‘반(反) 피사(FISA) 조항’이라 불린 이 법안은 EU 시민들에 대한 기술·통신기업의 자료를 넘겨달라는 미국의 요청을 무력화시킬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그러나 이 같은 보호장치는 지난해 1월 EU 집행위 관리들에 의해 폐기됐다.

당시 EU 27개 회원국을 대표하는 EU 집행위원들은 이 같은 입법이 유럽의 가장 중요한 동맹인 미국을 불필요하게 적대시하는 것일 뿐 아니라 EU 시민과 관련한 정보를 담은 거대 기술기업의 데이터 서버가 대부분 미국에 있어 입법의 실효성이 미미하다고 주장했다.

한 EU 관리는 “반대론자들은 이 같은 입법이 정보 이전을 더욱 어렵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며 “우리는 미국과의 통상협상을 막 시작한 상태였기 때문에 복잡한 문제를 만들고 싶지 않은 측면도 있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비비안 레딩 EU 집행위원 같은 이는 이 같은 입법이 최근 폭로된 미국 국가안보국(NSA)의 ‘프리즘 프로그램’같은 문제를 막을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여전히 이 법안의 지지자들은 당시 입법이 이뤄졌다면 미국이 FISA로 부여된 권한을 남용하는 일을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믿고 있다.

EU 관리들에 따르면 EU 집행위의 태도 변화는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의 동생이자 미국 상무부의 최고 법률 자문관인 캐머런 케리같은 미국 행정부의 고위급 관리들이 반복적으로 브뤼셀을 방문하면서 나타났다.

재닛 나폴리타노 미국 국토안보부 장관도 개별적으로 EU 집행위 관리들을 상대로 로비를 벌였다고 한 EU 관리는 전했다.

미국 외교관들은 EU 집행위를 상대로 한 로비의 구체적 내용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자신들의 의견이 브뤼셀의 관리들로부터 호응을 받았다고 인정했다.

윌리엄 케너드 EU 주재 미국대사는 “정보보호법은 미국이 의견을 제시한 법안의 핵심 내용이었다”며 “그런 것이 바로 외교관이 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