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행 소포에서 칼 나와’ 중국당국, 美페덱스 조사

‘홍콩행 소포에서 칼 나와’ 중국당국, 美페덱스 조사

신성은 기자
입력 2019-09-04 11:11
업데이트 2019-09-04 11: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中매체, 화웨이 배송사고·총기배송 등 연이은 문제 부각

중국 내에서 화웨이 물품 배송사고와 총기 배송 등으로 논란이 됐던 미국 운송업체 페덱스가 규제대상인 칼을 홍콩으로 배송하다가 또 다시 중국 당국의 조사대상에 올랐다.

4일 관영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페덱스 중국유한공사가 최근 이와 관련해 중국 당국의 조사받고 있으며, 해당 물품은 압수됐다.

신화통신은 다만 칼의 종류나 발송지, 배송지 등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보도하지 않았다.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해당 칼의 성격에 따라 처벌이 달라질 수 있다면서, 단순 밀수품일 경우 벌금으로 끝날 수 있지만 무기류로 분류되면 중국시장 면허취소 등 심각한 결과도 가능하다고 전했다.

특히 소포의 배송지가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반대로 촉발된 시위가 날로 격화되는 홍콩이라는 점도 문제를 키울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글로벌타임스는 최근 홍콩 시위대가 경찰관을 공격하는 등 폭력 수위를 높여가고 있다면서, 경찰이 과격 시위대로부터 단검·망치·칼 등을 압수한 바 있다고 전했다. 지난달 30일에는 경찰관이 휴무 중 괴한들의 칼에 찔리는 사건도 벌어졌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중국 매체들은 이번 사안이 미·중 무역전쟁 이후 중국 시장에서 페덱스와 관련한 세 번째 사건이라는 점도 부각하고 있다.

지난 5월 페덱스는 미국 정부의 집중 견제대상인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가 일본에서 중국 내 화웨이 사무실로 보낸 화물 2개를 미국 테네시주 멤피스 페덱스 본부로 보낸 바 있다.

지난달에는 미국 고객이 페덱스를 통해 중국의 모 스포츠용품 회사에 보낸 소포에 총기가 들어있다는 제보에 따라 조사가 진행 중이다.

중국 당국은 자국 기업의 정당한 권익을 침해하는 외국기업 등을 대상으로 사실상 ‘블랙리스트’인 ‘신뢰할 수 없는 실체 명단’ 제도를 만들겠다고 밝힌 바 있는데, 페덱스를 여기에 올려야 한다는 중국 매체들의 보도도 나오는 상황이다.

한편 중국 중앙(CC)TV 인터넷판인 앙시망은 “중국법에 따르면 택배업체는 안전상 중대한 위험이 있는 물품을 운송해서는 안 된다”면서 “페덱스가 중국에서 30여년간 영업해온 만큼 총기와 칼 등이 배송금지품목임을 알았어야 한다”고 비판했다.

또 “이러한 일련의 불법행위는 자신의 브랜드를 스스로 훼손하고 신용을 포기하는 것”이라면서 “(페덱스를) 아직도 고객들이 신뢰할만한가”라고 반문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