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트위트정담’ 1회는…

오바마 ‘트위트정담’ 1회는…

입력 2011-07-08 00:00
업데이트 2011-07-08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30년대 프랭클린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이 ‘노변정담’을 고안해낸 이후 80여 년이 흐른 지금까지 대통령들의 대국민 소통 방식은 그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노변정담은 당시만 해도 획기적인 아이디어였지만 어디까지나 대통령이 국민에게 일방적으로 의견을 피력하는 일방향 커뮤니케이션이었다.

그런 측면에서 그동안 주례 라디오 연설만 해오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국민과 대화한 것은 역사적 전환점이라 할 만하다. 오바마는 최초로 트위터로 국민과 쌍방향 소통을 시작한 대통령으로 역사에 남게 된 것이다.

트위터 타운홀미팅은 이날 오후 2시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트위터 공동 창업자인 잭 도시의 사회로 1시간가량 진행됐다. 오바마는 시작 무렵 자신의 컴퓨터 자판을 직접 두드리며 “실시간으로 트위터를 한 최초의 대통령이라는 역사를 만들었다.”고 농담조로 말했다.

1주일 전부터 이날 정오까지 6000여 건의 질문이 트위터에 쇄도했고 백악관 팀은 이 가운데 24개를 선별했다. 잭 도시가 화면으로 올라오는 트위터 질문을 읽으면 오바마가 대답하는 형식으로 ‘트위트 정담’은 진행됐다. 질문은 일자리와 예산, 세금, 교육, 이민 등의 주제를 망라했고, 오바마는 특유의 달변으로 답했다. 그러나 오바마는 컴퓨터 대신 입으로 답변을 하면서 140자를 넘으면 안 되는 트위터 규칙을 위반했다. 이에 백악관 실무진이 트위터에 답변을 올릴 때는 140자 이내로 줄여야 했다.

분위기는 공화당 소속 존 베이너 하원의장의 트위터 글이 등장했을 때 절정에 달했다. 베이너는 “우리를 더욱 심각한 빚더미에 앉게 한 지출이 행해졌지만, 일자리는 어디에 있느냐.”고 꼬집었다. 이에 오바마는 웃으면서 “약간 편향된 질문”이라고 응수한 뒤 “지금은 아무도 만족은 못하지만 경제가 실질적으로 일자리를 만들고 있다.”고 답했다.

PBS방송은 “오늘은 우리의 총사령관이 트위터 총사령관이 된 날”이라며 트위터가 주요한 정치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고 했다. 그러나 질문 선정 과정이 사실상 사전 검열 기능을 해 진정한 쌍방향 소통이 되려면 아직 멀었다는 지적도 나왔다. 탈락한 트위터 질문 중에는 “사랑스러운 미셸(대통령 부인)의 팔을 내가 가질 수 없겠느냐.”라는 저질 질문도 있었지만, 동성애 결혼 허용 여부과 같은 민감하면서 중요한 질문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 김상연특파원 carlos@seoul.co.kr

2011-07-08 2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