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사모펀드와 공모펀드/전경하 논설위원

[씨줄날줄] 사모펀드와 공모펀드/전경하 논설위원

전경하 기자
전경하 기자
입력 2019-08-27 17:58
수정 2019-08-28 01: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문재인 대통령이 그제 생애 첫 펀드에 가입했다. NH아문디자산운용의 ‘필승코리아증권투자신탁’으로 부품·소재·장비 기업과 세계적 경쟁력을 가진 기업에 투자하는 펀드다. 운용보수의 50%는 공익기금에 투자하는 ‘애국펀드’다. 김광수 농협금융지주 회장은 문 대통령과의 간담회에서 “이번 펀드는 1차적으로 1000억원 정도를 목표로 삼고 있으며, 그후 1조∼2조원 규모로 커져도 좋을 것”이라고 밝혔다. 과거 공모펀드 열풍을 떠올리면 참으로 소박한 목표다.

공모펀드는 돈만 있다면 누구나 투자할 수 있다. 총투자금액과 수익률은 물론 수수료율을 공시한다. 펀드 가입자에게는 3개월마다 자산운용보고서가 배달된다. 물론 가입자들은 수익률에만 관심을 갖는다.

공모펀드는 1999년 3월 현대증권이 출시한 ‘바이코리아펀드’로 대중화됐다. 간접투자상품인 펀드가 생소하던 시절 ‘우리 기업의 주식을 사자’는 애국 마케팅에 출시 4개월 만에 10조원이 몰렸다. 호황도 잠시, 2000년 닷컴버블 붕괴와 현대전자 주가 조작 사건이 터지면서 바이코리아펀드는 이듬해부터 수익률이 마이너스로 돌아섰고 환매가 잇따랐다.

공모펀드의 제2전성기는 미래에셋자산운용과 적립식 펀드가 가져왔다. 1998년 국내 뮤추얼펀드 1호인 ‘박현주펀드’의 대박에 힘입어 유명해진 미래에셋자산운용은 2004년 ‘3억 만들기’, 2007년 ‘인사이트’로 펀드 열풍을 일으켰다. 매달 일정액을 넣는 적립식이 인기를 끌면서 인사이트펀드는 출시 한 달 만에 4조원을 모았다. 그러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투자 원금이 반 토막 나자 열풍은 사그러들었다.

지금은 사모펀드가 펀드시장의 주력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펀드 설정액 551조원 가운데 사모펀드가 60.5%다. 투자자가 50인 이상이면 공모펀드로 전환돼 규제를 받기 때문에 금융사들은 사모펀드 투자자를 49인 이하로, 가급적이면 관리가 쉬운 20~30명으로 맞춘다. 보통 1인당 몇 억원씩 투자한다. 보고는 투자자들이 원할 때, 금융사들이 보고할 필요성을 느낄 때 한다. 총 투자금액과 수익률, 운용 현황 등은 공시 대상이 아니다. 금융사들은 ‘큰손’이 수익을 거둘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한다.

사모펀드의 주된 투자자는 금융사이지만, 개인도 지난해 말 기준 23조원을 투자했다.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사모펀드도 여기 포함된다. 돈이 돈을 버는 사모펀드가 잘못은 아니다. 얼마나 공정하게 합법적으로 운영됐는지는 그들만 안다. 그래서 이해상충의 문제가 나올 수 있는 고위공직자의 사모펀드 투자를 제한하자는 이야기가 나온다.

lark3@seoul.co.kr
2019-08-28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