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나이/손성진 논설실장

[길섶에서] 나이/손성진 논설실장

손성진 기자
입력 2017-01-09 20:52
업데이트 2017-01-09 22: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 살을 더 먹었다. 어릴 때는 참 더디게 가던 세월이 갈수록 가속도가 붙는다. 조금씩 문제가 생기는 건강과 다가오는 은퇴를 놓고 50대쯤이면 누구나 걱정을 한다. 그러나 올해 만 97세가 된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 앞에서 이런 걱정을 하는 건 응석에 불과하다. 100세에 가까운 그가 인생에서 가장 보람찼던 시기로 꼽는 때는 60~75세다. 50대에 여생의 계획을 세우고 은퇴해서도 일과 공부를 게을리하지 않는다면 노년에도 얼마든지 알찬 인생을 살 수 있다고 말한다.

김 교수의 말을 듣고 있으면 나이를 먹는 게 더는 두렵게 느껴지지 않는다. 지금부터 나머지 인생에 대한 준비를 차근차근하면 인생의 황금기를 15년 이상 누릴 수 있다고 하니 다가오는 은퇴와 노쇠가 겁나지 않는 것이다. “벌써 60이 아니라 이제 60”이다.

올해 만 83세가 된 이시형 박사는 스스로 50대로 칭한다. 그는 40대까지는 타고난 유전자로 살지만 그 후는 제2의 유전자로 살아야 한다고 했다. 그것은 바른 생활습관인데 운동과 좋은 식사 요법이다.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 “나이는 못 속인다” 중에서 어떤 것을 선택할지는 자신의 몫이다.

손성진 논설실장 sonsj@seoul.co.kr
2017-01-10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