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육체의 버릇/황진선 특임논설위원

[길섶에서] 육체의 버릇/황진선 특임논설위원

입력 2011-05-23 00:00
업데이트 2011-05-23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힘든 일을 끝낸 분들이 술 한잔 하는 기분을 안다. 등산을 마치고도 막걸리 생각이 난다. 기자들도 다를 것은 없다. 힘들여 쓴 글이 기사화되고 나면 한잔 생각이 난다. 그런데 한잔으로 끝나지 않는 것이 문제다. 2차, 3차를 한 다음 날엔 몸이 괴롭기보다 마음이 아플 때가 있다. 후회스럽기보다는 우울한 쪽이 더 가깝다. 그래서 잘못인 줄 알면서도 다음 날 또 술을 마시기도 한다. 악순환이다.

얼마 전 청소년용 책을 읽다가 마음에 와 닿는 구절을 발견했다. 감정은 육체의 버릇이라는 것이다. 술·담배를 많이 했거나, 운동이 부족했거나, 햇빛을 덜 쪼였기 때문에 좋지 않은 감정이 생긴다는 것이다. 그래서 저자는 우울하거나 슬럼프에 빠졌을 때는 술은 되도록 적게 마시고 일찍 자려고 노력한다. 그리고 몸이 아니라 마음을 위해서 운동을 하거나 일에 열중한다는 것이다. 맞는 말이다. 우울한 감정은 거의 육체의 버릇으로 생겨난다. 사실 다 아는 얘기인데 요즘 새삼 그런 말에 고개를 끄덕인다면 육체 탓이 아닌가 싶다.

황진선 특임논설위원 jshwang@seoul.co.kr

2011-05-23 3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