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제약사 뒷돈 챙긴 의사들의 대국민 갑질

[사설] 제약사 뒷돈 챙긴 의사들의 대국민 갑질

입력 2024-06-19 04:20
업데이트 2024-06-19 04: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집단휴진 이틀째인 서울대병원
집단휴진 이틀째인 서울대병원 의사들이 진료 거부에 들어간 지 이틀째인 18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의 진료 대기 공간이 텅비어있다.
연합뉴스
의사단체의 집단휴진으로 국민의 분노가 폭발 직전에 이른 상황에서 이번에는 의사의 불법 리베이트가 경찰 수사선상에 올랐다. 그럼에도 대한의사협회는 어제 궐기대회에서 정부가 ‘의사들의 노력’을 집단이기주의로 매도하고 명예를 실추시켰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집단휴진의 가장 큰 피해자인 환자단체가 탄식하듯 ‘끝내 히포크라테스 선서를 내팽개친’ 사람들이다. 이기주의적 행태로 이미지를 추락시킨 주체는 정부가 아닌 자신들이라는 사실을 의사들은 분명히 깨닫지 않으면 안 된다.

의사의 불법 리베이트는 어제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이번에도 단 한 곳의 제약회사가 연관됐을 뿐인데도 무려 1000명에 이르는 의사가 연루됐다고 한다. 적게는 수백만원, 많게는 수천만원 상당의 현금이나 금품을 제공받았다니 부정행위의 규모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이번 진료 거부를 주도한 서울대병원을 비롯해 대학병원과 2차병원, 동네병의원이 망라됐다니 절로 한숨이 나온다. 경찰 수사가 확대될 경우 도대체 얼마나 많은 의사가 가담한 것으로 드러날지 가늠조차 불가능하다.

윤석열 대통령은 어제 “정부는 환자를 저버린 불법행위에 엄정 대처할 수밖에 없다. 비상 진료체계를 철저히 점검해 달라”고 국무회의에서 주문했다. 의사단체의 불법행위에 강력히 대응하고 빗나간 요구는 앞으로도 수용할 뜻이 전혀 없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차제에 정부는 자신들이 마치 법 위에 군림하는 무소불위의 존재인 양 착각하는 의사단체의 빗나간 의식 구조를 바로잡는 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국민 건강을 볼모로 불법 금품을 거리낌 없이 챙기는 도덕불감증이 집단휴진으로 이어진 것은 아닌지 반성이 필요하다. 이제 ‘휴진 의사 불매운동’도 시작됐다. 의사 갑질은 끝을 내야 한다.
2024-06-19 27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