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일 한국국학진흥원장
사방이 어렴풋이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하면 하늘색과 대비를 이룬 산들이 가장 먼저 윤곽을 드러낸다. 이어 그 산 그림자 밑에 칠흑으로 포개져 있던 온갖 사물들이 여명의 흐름에 따라 하나둘 자신을 내보인다. 시계열에 따라 펼쳐지는 도산서원의 새벽 풍광 가운데 가장 아끼는 것은 서원 건너편 낙동강변 백사장에 솟은 시사단(試士壇)이다. 특히 요즘처럼 강 안개가 잦은 날 희뿌연 새벽 안개 사이로 드러나는 시사단의 모습은 경외감까지 들게 한다.
이름 그대로 ‘선비를 뽑은 장소’라는 뜻을 지닌 시사단의 역사는 1792년까지 올라간다. 그해 재위 16년째를 맞은 정조는 3월 25일 도산서원에서 과거시험(도산별과)을 치르도록 명하였다. 한양을 벗어난 장소에서 처음 치러진 이날 과거에 응시한 사람은 무려 7228명이었고, 답안지를 제출한 사람만도 3632명이었다. 그 가운데 강세백(姜世白, 1748~1824)과 김희락(金熙洛, 1761~1803) 두 사람이 급제하여 왕 앞에서 보는 최종 면접시험인 전시(殿試)에 나아갈 자격을 부여받았다. 시사단은 이때 치러진 별과를 기념하여 4년 뒤인 1796년 과거가 거행된 곳에 세워진 비와 비각이 있는 장소이다. 처음에는 도산서원과 마주 보는 강변 솔밭 안에 세워졌으나, 1970년대 중반 안동댐 건설로 물에 잠기게 되자 단을 10m 높이로 쌓아 올려 옮긴 후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런데 시사단을 보면 의문이 하나 생긴다. 정조는 왜 하고많은 장소 가운데 도산서원에서 과거를 치르게 했을까? 표면적인 이유는 250여년을 먼저 산 퇴계 선생의 학덕을 기리게 위해서였다고 전한다. 그렇더라도 의문은 계속된다. 학덕을 기릴 선현이 어디 퇴계 선생뿐이었겠는가? 그럼에도 퇴계와 도산서원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일까? 당시 극심하던 당쟁으로 나라가 분열되자 조정에 영남의 남인을 등용하여 보완함으로써 탕평 효과를 거두기 위한 것이 주목적이었다는 해석도 있다.
하지만 필자는 이런 견해보다 퇴계 선생이 후세에 남긴 학덕에 더 무게를 두고 싶다. 퇴계 선생은 평생을 낮춤과 배려로 일관했다. 자신에겐 엄격하고 남에겐 후한 ‘박기후인’(薄己厚人)의 삶을 몸소 실천한 분이다. 까닭에 퇴계 선생 주변에는 항상 사람들이 떠나지 않았다. 정조는 퇴계 선생이 남긴 학덕에서 바로 이 부분, 즉 낮춤으로써 갈등을 해소하고 배려함으로써 다른 사람을 포용하는 치유의 코드를 읽어내고 마음으로 심복한 것은 아닐까?
정조는 재위 중 도산서원에 여러 번 제관(祭官)을 보내 제사를 지내게 했다. 그뿐만 아니라 당시 퇴계 종손이 평안도 영유현령으로 부임하는 길에 선생의 위패를 서울로 모시고 들어오자 예관에게 명하여 한강 부근 교외에 나가 맞이하게 하고, 그가 근무를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갈 때도 한강 교외까지 호송하게 했다. 위패가 지나는 길목에는 백성들이 “우리 선생님 지나가신다”며 엎드려 절을 했다고 기록은 전한다.
이를 감안할 때, 정조는 평생 낮춤과 배려를 실천하여 역사적으로 존경받는 퇴계 선생으로부터 자기 시대가 직면한 탕평과 통합이라는 과제의 해결책을 읽어냈을 가능성이 높다. 역사를 움직이는 것은 거창한 담론이나 주의주장이 아니라 솔선수범의 실천이라는 점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주는 사례이다. 우리시대가 풀어야 하는 치유와 해결의 실마리도 앞서 사신 분들의 이 같은 선험(先驗)으로부터 찾아야 하지 않을까? 새벽 안개 속에서 자태를 드러내는 시사단을 볼 때마다 드는 단상이다.
도산서원 선비문화수련원 이사장
2013-02-14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