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한제 앞두고 분양 시장 과열… 경쟁률 치솟고 당첨 가점 급등

상한제 앞두고 분양 시장 과열… 경쟁률 치솟고 당첨 가점 급등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19-09-09 22:34
업데이트 2019-09-10 02: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상한제 시행되면 공급 축소 우려… 일부 아파트 당첨 가점 80점 육박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시행을 앞두고 신축 아파트 공급이 줄어들 것이라는 ‘분양가뭄’ 우려에 청약 시장이 과열되고 있다.

9일 금융결제원 아파트투유에 따르면 지난 5일 발표된 ‘이수 푸르지오 더프레티움’ 1순위 청약에는 89가구 모집에만 1만 8134명이 몰려 평균 경쟁률 204대1을 기록했는데 전용 41㎡형(1가구)의 청약 당첨 가점이 무려 79점이었다. 84㎡형 A도 74점에 달했고 대부분 60점대 후반이 당첨선이었다. 지난 7월 분양한 서초그랑자이의 당첨 가점 최고점도 78점이다.

이날 임명장을 받은 조성욱 신임 공정거래위원장이 평생 무주택으로 살다 지난 7월 청량리 50평대 펜트하우스를 20억 3000만원에 분양받았는데 당시 그의 청약 가점이 54점이었다. 조 위원장은 84점 만점에 무주택(32점), 청약통장 가입 기간(17점), 부양가족(35) 세 가지 항목 중 무주택과 통장 보유 기간에서 만점을 받아 고득점을 얻었다.

하지만 부동산 업계에서는 앞으로 서울 신축 아파트를 분양받으려면 조 위원장이 받은 것보다 더 높은 청약 점수가 필요할 것으로 관측한다. 상한제 여파에 ‘로또 청약’ 광풍이 일면서 가점 인플레이션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서다. 지난 3월만 해도 수요층이 두터운 중소형 아파트에서 20~40점대가 합격선이었다. 서대문구 홍제동 ‘홍제역 해링턴 플레이스’ 아파트의 84㎡ C 합격선만 해도 36점이었다. 함영진 직방 데이터랩 팀장은 “시세보다 70~80% 싼 가격에 공급되는 분양가 상한제 시행이 가격 만족도는 높을 수 있지만 시기가 불분명하고 전매규제(10년)도 긴 만큼 ‘차라리 지금 넣고 보자’는 심리가 작용해 청약 시장이 과열되고 있다”면서 “공급자도 상한제를 피하고자 물량 공급에 적극적인 편이라 당분간 청약 가점 인플레이션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9-09-10 2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