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국내 최초 ‘트램 도시’ 된다···울산 트램 1호선 건설사업 타당성 재조사 통과

울산, 국내 최초 ‘트램 도시’ 된다···울산 트램 1호선 건설사업 타당성 재조사 통과

곽소영 기자
곽소영 기자
입력 2023-08-23 18:28
업데이트 2023-08-23 18: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하철 없어 ‘고래 타고 다닌다’ 놀림 받던 울산
도시철도 1호선 건설사업 타당성재조사 통과
2027년까지 국내 최초 ‘수소전기트램’ 구축
차세대 119통합정보시스템 등도 구축

이미지 확대
김완섭 기획재정부 차관이 8월 23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한국수출입은행에서 열린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김완섭 기획재정부 차관이 8월 23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한국수출입은행에서 열린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전국 광역시 중 유일하게 지하철이 없던 울산에 국내 최초로 ‘트램’이 들어설 예정이다.

기획재정부는 23일 김완섭 기재부 제2차관 주재로 제4차 재정사업평가위원회를 개최한 결과 울산도시철도 1호선 건설사업이 타당성재조사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울산시는 전국 광역시 중 유일하게 도시철도가 없어 네티즌 사이에서 ‘고래를 타고 다닌다’는 유머의 대상이 되어온 도시다.

이날 재정사업평가위를 무사히 통과하면서 울산에는 국내 최초로 수소전기트램이 구축될 예정이다. 사업 규모는 약 10.99km로, 울산 도심의 동서축을 잇는 15개의 정거장이 들어선다. 총 사업비는 3280억원으로 사업기간은 오는 2027년까지다.

수소전기트램은 열차 탱크에 담긴 수소를 연료로 삼아 도로 위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전기 동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방식이다. 매연은 물론 소음과 진동이 적어 친환경 대중교통으로 꼽힌다. 기재부는 도입 효과에 대해 “수소전기트램을 통해 교통 약자의 접근성을 향상하고 교통 혼잡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며 “뿐만 아니라 수소경제를 선도하고 탄소중립을 실천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이날 재정사업평가위에선 울산 트램 외에도 지역 접근성을 도모하고 교통혼잡을 해소해 지역 활성화에 기역할 수 있는 교통시설 사업 4개가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으로 선정됐다. 서해선·경부고속선 연결선 사업, 완도·강진 고속도로 신설 사업, 대구 황금동·범안삼거리 도로개설 사업, 대전 사정교·한밭대교 도로 개설 사업 등이 목록에 올랐다.

재난상황에서 국가의 위기대응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차세대 119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사업도 예타 조사 대상에 함께 선정됐다. 현재 지역별로 운영되고 있는 119시스템을 재난 시 국가 차원에서 통합 대응 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으로 2027년 구축 완료 예정이다.
세종 곽소영 기자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