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갑 닫은 가계… 여윳돈 30조

지갑 닫은 가계… 여윳돈 30조

입력 2014-09-26 00:00
업데이트 2014-09-26 01: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 2분기 가계 여윳돈이 30조원에 육박했다. 그런데 정작 가계의 표정은 밝지 않다. 여윳돈이 늘었다는데 왜 서글픈 표정일까. 이유는 ‘자린고비’에 있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분기 자금순환 동향’에 따르면 가계(민간 비영리단체 포함)의 잉여자금은 29조 6000억원이다. 전분기보다 4조 3000억원 늘었다. 잉여자금은 예금·보험·주식 등으로 ‘굴리는 돈’(운용자금)에서 ‘빌린 돈’(조달자금)을 뺀 것이다.

그런데 한은은 손뼉 칠 일이 아니라고 했다. ‘진짜 여윳돈’이 늘어서 지갑이 두둑해진 게 아니라 워낙 안 써서 불어난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가계빚이 1000조원을 넘고 노후가 불확실하다 보니 집집마다 허리띠를 바짝 졸라매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소비 위축이 역설적으로 가계 잉여자금을 늘린 것이다. 이런 현상은 올 1분기부터 이어지고 있다.

실제 근로자 1인당 실질소득은 2분기에 0.2%(4813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같은 기간 민간소비는 전기 대비 0.3% 감소했다. 올 6월 말 현재 가계부채(자영업자 제외)는 1040조원이다.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의 본격적인 은퇴 행렬도 계속되고 있다. 원리금 상환 부담과 준비가 안 된 은퇴 부담 등에 짓눌려 가계가 최대한 지출을 안 하며 돈을 쌓아 두고 있는 것이다. 여윳돈 증가 소식이 대부분의 가계에 공허하게 들리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가계 차입금이 급증한 것도 주목된다.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빌린 돈이 2분기에 15조 5000억원으로 전분기(3조 3000억원)보다 5배 가까이 불었다. 한은은 “주택 거래 증가에 따른 주택대출 증가나 전셋값 상승에 따른 관련 대출 증가”로 그 원인을 추정했다.

그렇더라도 자영업자를 포함한 가계의 금융부채는 올 6월 말 현재 1242조원으로 금융자산(2726조 4000억원)의 절반이 채 안 된다. 금융자산이 금융부채보다 2.2배 많은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금리가 더 내려가면 대출이자 감소분보다 예금이자 등 운용소득 감소분이 더 많게 된다. 추가 금리 인하가 소비 여력을 되레 위축시킬 것이라는 반론이 나오는 것은 그래서다.

안미현 기자 hyun@seoul.co.kr
2014-09-26 15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