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항공기 ‘드론’ 미래농업의 대안으로 뜬다

무인항공기 ‘드론’ 미래농업의 대안으로 뜬다

입력 2014-07-09 00:00
업데이트 2014-07-09 07: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무인항공기로 불리는 ‘드론’이 고령화와 젊은 층 이농 현상으로 어려움을 겪는 우리나라 농촌의 인력 문제 해결 등에 대안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농협경제연구소 이삼섭 컨설팅실장은 9일 ‘드론 시장 확대가 농업에 주는 영향과 정책과제’라는 보고서에서 “드론은 개발 초기 군사용으로만 이용됐으나 그 활용 범위가 물류, 통신, 스포츠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면서 “특히 농업부문에서 오래전부터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드론은 헬기보다 구입비용이 저렴하고 조종이 쉬워 원격 농장관리를 통한 농업경영 합리화에 적합하고, 앞으로 정밀 농업 즉 ‘스마트 농업’ 확대를 통해 농업 생산력 증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됐다.

카메라와 센서를 장착한 정찰용 드론이 농장을 관찰하다가 문제가 발생하거나 처리해야 할 일이 생기면 스마트 기기를 통해 농장주에게 알리고 농장주는 조치를 하도록 드론에 명령하면 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드론을 활용하면 최소 인력으로 농가당 영농 면적을 크게 늘릴 수 있어 효율성 제고를 기대할 수 있다.

또 농작물에 최대한 가까이 카메라와 센서를 접근시켜 병충해가 발생한 특정 작물에만 제한적으로 농약을 살포할 수 있는 등 친환경 농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실제로 세계적인 드론 생산업체인 ‘3D 로보틱스’에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 필요한 지역에만 농약을 뿌리는 드론을 현재 개발중에 있다.

이삼섭 실장은 “드론이 농업에 활용도가 높은 만큼 농업용 드론 사용 확대와 사용 규제 간소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 실장은 다만 “고화질 카메라를 장착한 드론의 활용이 늘어나면 사생활 침해와 같은 심각한 사회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드론의 사용면허와 활용 목적, 사용 규칙 등을 포괄하는 규제안이 필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