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료도 韓流’…지난해 첫 2억달러 수출 돌파

‘음료도 韓流’…지난해 첫 2억달러 수출 돌파

입력 2013-01-31 00:00
업데이트 2013-01-31 08: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서 바나나우유, 러시아서 밀키스 ‘돌풍’

외국 음료시장에서도 한류(韓流)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다.

31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음료 수출액은 전년대비 22.6% 급증한 2억2천600만달러를 기록했다. 음료 수출이 2억 달러를 돌파한 것은 처음이다.

수출액 5천만달러로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는 알로에가 선풍적인 인기를 끈다.

알로에 음료는 미국으로 이주한 중남미인들이 즐겨 찾았으나 최근에는 백인들의 선호도가 높아졌다. 탄산음료 소비가 줄고 과일주스 등 건강음료 수요가 늘어난 덕분이다.

미국에 이어 2위 시장인 일본에는 지난해 3천200만달러 어치를 수출했다. 2010년(1천500만달러)보다 2배 이상으로 늘어난 수치다.

2011년 3월 대지진으로 우리나라 생수 수출이 급증하고서 한국산 음료의 인지도가 크게 높아졌다. 걸그룹 ‘카라’가 광고모델로 나온 홍차와 옥수수수염차 등의 인기가 좋다.

지난해 중국 수출액은 3천100만달러로 일본 못지않은 시장으로 커졌다. 전년 대비 증가율은 45%에 달한다.

특히 빙그레 바나나맛우유의 수출액은 1천만달러에 육박한다. 한국을 찾은 중국 관광객들을 통해 입소문이 난데다가 중국 내 편의점 시장이 급성장한 덕을 톡톡히 봤다.

2천600만달러 어치를 수출한 러시아에서는 수출액의 절반 이상을 롯데칠성음료 ‘밀키스’가 차지한다.

우유와 탄산을 섞은 독특한 맛이 러시아인들의 입맛을 사로잡았다. 단일제품을 파는 국내와 달리 메론맛, 망고맛, 파인애플맛 등 10가지 제품을 개발해 판매한 현지화 전략도 먹혀들었다.

aT 관계자는 “국내 음료업체들의 부단한 시장 공략과 현지화 전략이 효과를 내고 있어 앞으로 음료 수출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