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세계 경제성장률 差 14년만에 최대…저성장 굳어져

韓-세계 경제성장률 差 14년만에 최대…저성장 굳어져

입력 2013-01-09 00:00
업데이트 2013-01-09 05: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과거 10년간 8차례나 낮아…향후 4%이상 성장률 어려워

작년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이 2년 연속 세계경제 성장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그 격차가 외환위기 때인 1998년 이후 가장 크게 벌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9일 기획재정부와 국제통화기금(IMF),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연도별 국내 및 세계 경제성장률을 분석한 결과, 작년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전망치는 2.1%(기재부 추정)로 IMF가 전망한 세계경제 성장률 3.3%보다 1.2%포인트 낮았다.

이는 GDP 증가율이 -5.7%로 세계경제 성장률(2.6%)보다 무려 8.3%포인트 낮았던 1998년 외환위기 이후 14년 만에 가장 큰 격차다.

작년 GDP 성장률은 절대 수치로도 글로벌 금융위기 때였던 2009년(0.3%)을 제외하면 외환위기 때 이후 가장 낮다.

한국 GDP 성장률은 올해도 3.0%으로 전망돼 IMF가 내놓은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3.6%)보다 0.6% 낮다.

외환위기가 극복된 뒤 노무현 정부(2003∼2007)와 이명박 정부(2008∼2012) 10년 동안 한국 GDP 증가율이 세계경제 성장률보다 높았던 것은 2009년과 2010년 단 두 차례 뿐으로 우리 경제가 완전한 저성장 기조에 진입했음을 보여줬다.

과거 정권별로 각 5년간 우리나라의 GDP 증가율과 세계경제 성장률의 평균치를 비교해보면 김영삼 정부(1993∼1997) 때 GDP 성장률은 7.4%, 세계경제 성장률은 3.3%로 한국 경제가 4.1%포인트 더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후 김대중 정부(1998∼2002) 때는 세계 경제가 매년 평균 3.2% 성장하는 동안 우리나라는 평균 5.0%의 성장률을 보였고, 노무현 정부 때는 처음으로 평균 한국 성장률(4.3%)이 세계경제 성장률(4.8%)보다 낮았다.

이명박 정부 들어서도 글로벌 금융위기 등으로 낮은 성장성을 벗어나지 못했는데, 5년간 평균 2.9% 성장으로 세계경제 성장률과 같은 수준일 것으로 전망됐다.

신세돈 숙명여대 교수는 “우리나라 경제가 본격적인 저성장 시대에 진입한 만큼 앞으로도 4% 이상 성장률을 올리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환율 변화에 따른 무역 손익이 반영된 1인당 국민총소득(GNI) 성장률을 역대 정권별로 보면 김영삼 정부 때는 평균 8.78% 성장했으며, 김대중 정부 3.66%, 노무현 정부 12.28%에 이어 이명박 정부 때(2011년까지 4년간)는 평균 1.7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정영택 국민계정부장은 “이명박 정부 때 GNI 성장률이 낮은 것은 출범 후 지속된 원화 약세와 경제성장률 둔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