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 사료값 ‘불똥’ 삼겹살에 튈라

돼지 사료값 ‘불똥’ 삼겹살에 튈라

입력 2011-07-22 00:00
업데이트 2011-07-22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돼지고기 생산비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배합사료 물가가 사상 최고 수준으로 올랐다.

이미지 확대
원가상승은 곧 소비자가격 상승을 불러올 수 있다. 여름 휴가철을 맞아 돼지고기 삼겹살 소비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향후 삼겹살발(發) 물가충격이 우려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21일 발표한 6월 곡물관측월보에 따르면 6월 배합사료 생산자 물가지수(2005년=100)는 201.6으로 전월(195.3) 대비 6.3포인트 올랐다. 지난해 평균(175.1)보다 15.2% 상승한 수치로 사상 최고치다. 배합사료 생산자지수는 올해 1월 178.5를 기록한 이후 꾸준히 증가해 왔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에 따르면 배합사료는 돼지고기 전체 생산비의 50% 이상을 차지한다. 배합사료가 한우 전체 생산비의 30% 수준을 차지하는 것에 비해 훨씬 많은 비중이다. 따라서 배합사료 가격이 올라갈 경우 구제역 사태로 돼지를 살처분한 농가들이 경영비 부담을 우려, 돼지 재입식을 늦추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이병모 대한양돈협회 회장은 “일본의 경우 국제 사료값이 너무 올라서 농가와 정부가 함께 사료안정기금을 만들어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는 아직 그런 장치가 없다.”며 돼지 농가들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이미 돼지고기 가격이 가파른 상승세를 타고 있는 가운데 돼지 사육농가들의 생산비 상승은 삼겹살 성수기를 맞아 소비자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농수산물유통공사에 따르면 21일 현재 돼지고기 삼겹살(중품·500g 기준) 소매가격은 1만 1692원으로 평년 8925원보다 31% 오른 상태다.

정부는 수입 냉장 삼겹살에 인센티브를 적용하는 한편 민간 수입업체가 항공기로 냉장 삼겹살을 수입하면 항공비를 지원하는 등 다각적인 물가 안정대책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배합사료 상승으로 인한 물가충격을 얼마나 완화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배합사료 인상의 주요 원인은 국제 곡물가 상승이다. 2010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국제곡물값 상승으로 올 상반기 밀, 옥수수, 대두 가격은 지난해 하반기보다 각각 15%, 49%, 24% 올랐다. 꾸준한 상승 기조로 지난 6월 밀, 옥수수 수입단가 역시 ㎏당 각각 0.38달러, 0.33달러로 전월보다 1.6%, 6.2% 상승했다.

이달 들어 국제 곡물가가 다소 보합세를 보이고 있으나 신흥국을 중심으로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어 여전히 가격은 불안하다.

황비웅기자 stylist@seoul.co.kr
2011-07-22 18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