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졸자 4명 중 1명 “취업정보 절실”

고졸자 4명 중 1명 “취업정보 절실”

입력 2011-07-21 00:00
업데이트 2011-07-21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용부 취업 실태 조사

산업은행과 기업은행 등이 최근 고졸 사원 채용을 확대하면서 ‘고졸 취업 열풍’이 불고 있다.

대졸 사원과 차별을 줄이면서 고졸자 채용을 늘리면 학력 인플레도 잠재우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기업이 고졸자의 수요를 늘리는 한편 고졸자에 대한 취업 인프라 개선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고졸자들이 취업 정보 부족을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꼽는 만큼 대학에 비해 활성화되지 못한 학교 취업정보서비스의 개선이 필수적이라는 의미다.

20일 고용노동부가 지난해말 실시한 대졸자 및 고졸자의 취업실태조사에 따르면 고졸자 중 25.3%가 취업애로사항으로 ‘취업 정보 부족’을 꼽았다. 가장 높은 비율로 ‘학력·기능·자격이 맞지 않아서’(24.7%), ‘경력이 부족해서’(19.5%), ‘본인의 적성을 몰라서’(9.7%) 등이 뒤를 이었다.

‘취업 정보 부족’은 고졸자의 60%가 신문·TV·인터넷을 통해 취업 정보를 얻기 때문이다. 매스미디어의 속성상 대부분 대졸자 위주의 정보들이다. 학교 취업 정보실이 있기는 하지만 이용률은 5%에 불과하다. 취업 정보를 얻는 루트가 다양한 대졸자들이 대학 취업정보실 이용하는 비율(13.8%)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고용부가 인건비를 지원하는 취업지원관 제도가 그나마 도움을 주지만 이 마저도 대학교 지원 비중이 높다. 330개 대학교 중 40.3%(133개)를 지원하지만 특성화고교는 690개 중 17.1%(99개)를 지원한다.

지난달 학력별 실업률을 봐도 4년제 대졸 이상 5.7%, 전문대 6.4%, 고졸 이하 8.1%로 학력이 내려갈수록 취업은 어려워진다. 취업을 해도 첫 월급은 대졸자(129만 8900원)보다 30만여원 적은 99만 1700원에 불과하다.

이경주기자 kdlrudwn@seoul.co.kr
2011-07-21 6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