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銀 노조, 조합원에 ‘인터넷 여론조작’ 하달 파문

외환銀 노조, 조합원에 ‘인터넷 여론조작’ 하달 파문

입력 2011-07-03 00:00
업데이트 2011-07-03 08: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근무시간 절반 이상 사이버투쟁”

하나금융지주의 인수 반대 투쟁을 펼치고 있는 외환은행 노동조합이 조합원들에게 지속적으로 ‘투쟁지침’을 하달한 것으로 드러나자 양측의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지침에 근무시간의 절반 이상을 사이버투쟁에 투입하도록 독려하는가 하면 트위터나 인터넷 포털에서 여론을 조작하라는 내용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외환은행 노조는 하나금융이 외환은행 인수를 추진한다는 소식이 알려진 지난해 11월 이후 조합원들에게 지속적으로 투쟁지침을 내려보냈다.

연합뉴스가 입수한 투쟁지침에 따르면 외환은행 노조는 지난 3월 사이버투쟁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전개하기 위해 ‘사이버 지킴이’ 105명을 선정했다.

이들의 임무는 근무시간의 50% 이상을 떼어내 트위터를 통해 일반시민들과 교류하면서 하나금융 인수의 부당성을 널리 알리는 것이다.

이와는 별도로 900명의 대원을 모집해 노조가 지정한 트윗글이나 인터넷 포털 게시판 게시글에 대한 추천 메뉴 누르기 및 댓글 달기 임무를 수행하고 미션 수행 여부를 상급자에게 보고하도록 했다.

일반 노조원들에게도 포털 사이트의 하나금융과 김승유 회장을 비방하는 내용의 게시글에 동조하는 댓글을 달거나 트위터를 통해 전파하도록 독려했다.

이 같은 투쟁지침 내용이 알려지자 하나금융 관계자는 “지속적인 ‘사이버 테러’를 자행한 주체가 외환은행 노조라는 심증만 있었는데 물증이 나타난 것이다”는 반응을 나타냈다.

서울 남대문경찰서는 최근 하나금융이 자사와 관련된 기사에 악성댓글을 단 누리꾼을 고소하자 수사에 나섰는데, 하나금융 측은 이들의 배후에도 외환 노조가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외환은행 노조 측은 노조 차원에서 사이버투쟁을 벌인 일이 없다고 부인했다.

노조 관계자는 “직원들이 자발적으로 근무시간을 쪼개 댓글을 달거나 트위터에 글을 올린 것”이라고 해명하면서 “오히려 하나금융이 콜센터를 이용해 노조를 음해하는 공작을 폈다”고 주장했다.

투쟁지침에는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융위원장 업무보고를 앞두고 특정 국회의원들에게 후원금을 몰아주라거나 지난 4.27 재보선에서 분당을을 전략지역구로 지정해 특정후보 당선을 위해 총력을 펼친다는 내용 등도 담겨 있어 파장이 예상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