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우리 금융지주 합병 급물살 탄다

산은·우리 금융지주 합병 급물살 탄다

입력 2011-05-16 00:00
업데이트 2011-05-16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산은금융지주와 우리금융지주 간 인수·합병(M&A) 가능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세계 50위권의 메가뱅크 탄생이 가시권에 들어선 모습이다.

이미지 확대




산은지주는 이미 민영화 차질에 대한 반박 논리를 개발하고, 본격적으로 우리금융 인수전에 뛰어들 태세다. 정부도 산은이 우리금융 재매각에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진입 장벽을 낮추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반면 또 다른 인수 후보로 거론되는 우리금융컨소시엄(가칭)에 대해서는 정부가 우호적이지 않아 사실상 주인이 정해진 것 아니냐는 ‘사전 교감설’도 제기되고 있다. 우리금융 측은 일단 재매각 방향과 일정 등을 보고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예금보험공사는 17일 공적자금관리위원회(공자위)에서 우리금융 재매각 등의 원칙이 확정되면 곧바로 입찰을 공고하고 매각에 나설 예정이다. 공자위 관계자는 “우리금융 지분(56.97%)의 재매각 방향과 일정 등을 결정할 것”이라면서 “(금융지주사법 시행령 손질 등) 시중에 떠도는 여러 내용들이 논의될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유효경쟁(2개사 이상 참여) 실패로 우리금융 매각이 중단된 만큼 이번엔 다른 금융지주사가 입찰에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금융지주사법 시행령 손질을 검토하고 있다. 금융지주사가 다른 금융지주사를 인수하기 위한 최소 매입지분 조건을 95% 이상에서 50% 이상으로 완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국내 다른 지주회사들은 정부 보유 지분(56.97%) 외에 추가로 지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된다.

정부도 다수 경쟁자 참여를 통해 ‘경영권 프리미엄’을 확보할 수 있다. 지난해 우리금융 컨소시엄 측은 정부에 경영권 프리미엄을 지급할 수 없다고 입찰을 포기, 결국 매각 실패로 이어지게 했다.

산은지주는 우리금융 인수전 참여를 사실상 확정하고 여론전도 펼치고 있다. 산은지주는 ‘정부 소유 은행끼리 합친다.’는 여론의 역풍을 차단하기 위해 “우리금융을 합병하면 산은지주에 대한 정부 지분율이 50% 정도로 낮아져 자연스럽게 민영화가 추진된다.”고 주장했다.

우리금융과 합병한 산은지주를 상장하면 새로운 투자자에게 지분이 매각되고, 우리금융에는 정부 이외 투자자의 지분(43.03%)도 있는 만큼 이를 감안하면 정부 지분이 50~60% 수준까지 낮아질 것으로 본 것이다.

반면 자체적으로 투자자를 모집해 지분 공동매입 방안을 추진하는 우리금융은 일단 공자위 결정을 지켜보고 결정하기로 했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정부가 우리금융컨소시엄의 인수전 참여를 마뜩잖게 보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매각 방안을 보고 최종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2011-05-16 14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